팬데믹 레거시: 시즌 2의 내용 스포일을 막기 위해서
 
 

 
 
물천사 님이 오셔서 요새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팬데믹 레거시: 시즌 2의 프롤로그를 해봤습니다.
저희 모임에서 한 카피밖에 못 사서 본 게임에 못 들어가고 있습니다.
인원은 5명인데, 어떻게 해야 할지 아직 정하지 못 했고요.
(혹자의 돈 몇 푼짜리 투기로 게임을 정말 하고 싶은 누군가가 고통받고 있습니다. 부디 부자 되세요.)
두 번째 카피를 확보할 때까지 프롤로그를 하기로 했습니다.
 
게임 보드를 보니 맵에 있는 그림이 대륙이 아니라 바다였습니다;;;
인류를 구한 줄 알았으니 시즌 1에서 망하고 70년이 지난 후가 시즌 2라고 하더군요.
 

 
 
진행 방식은 비슷했습니다만 행동 포인트를 소비하지 않는 행동도 있고, 질병이 단 한 종류뿐이었습니다.
전염병을 치료할 방법이 없어서 보급품으로 예방하는 수준이었습니다.
기존의 보급품, 또는 카드로 만들어낸 보급품을 가져다가 약한 도시에 놓고 막아주는 거였거든요.
게임은 무척 쉬웠습니다.
그래서 프롤로그만 놓고 봤을 때에는 제 기대에 미치지 못 했습니다.
본 게임에 플레이어들의 똥줄을 공격할 무언가가 있겠죠. ㅎ
 

Posted by Mounted Cloud
정기모임 후기/2017년2018. 3. 19. 07:00
핼러윈? 할로윈?
 
 
며칠 전이 Halloween 핼러윈이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편하게 할로윈이라 부르죠.
사실, 저는 아직도 핼러윈이 익숙하지 않습니다.
아마도 어렸을 적부터 접하지 못해서 그런 것 같아요.
어렸을 적 기억으로는 TV 해외토픽 꼭지에 서양 애들은 10월의 마지막 날에 귀신 분장하고 논다 카더라...고 짧막한 소개가 나왔던 것 같아요.
핼러윈에 대해 제대로 알려면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데요.
저도 정확히는 몰라서... ㅠ (위키피디아를 참조하세요.)
 
제가 보드게임을 취미로 하면서 핼러윈을 처음 접한 게 바로 이 게임 때문이었을 겁니다.
 
 
핼러윈 때에 귀신 복장을 한 아이들이 이웃집을 방문해서 사탕을 얻을 때에 "Trick or treat! 트리 커 트릿!"이라 외치고,
호박을 파내서 만든 등을 Jack O' Lantern 잭 오 랜턴이라 부른다는 것도 이 즈음 알게 된 것 같습니다.
 
요즘 우리나라 아이들은 영악해서 그런지 벌써부터 핼러윈을 잘 알고 있습니다.
외국에서 온 문화여서 거부감을 일으키는 어른들도 많은데요. 그럼 크리스마스는? 석가탄신일은?
어디서 보니 아이들의 유치원이나 영어 학원의 영향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저는 연예인이나 놀이공원의 영향도 있다고 봅니다.
몇 년 전부터 꾸준하게 핼러윈 때마다 큰 이벤트를 여는 놀이공원이 있었고요.
해외 팬들을 거느린 유명 연예인들이 자신의 SNS를 통해서 핼러윈을 준비하는 사진을 올리는 게 많아졌죠. 작년에는 여자들이 죄다 할리퀸으로...;;;
 
딱히 즐기고 놀 문화가 많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좀 센세이션 한 문화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게 아닌가 싶어요.
어떤 분들은 너무나 상업적인 날이라고 하는데, 그건 해외에서도 마찬가지고요...;;; (예전부터 그랬대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며 즐겁게 놀 수 있는 날로 자리잡아가길 바랍니다.
 
끝으로, 지미 키멜 라이브 프로그램에서 엄마아빠들이 아이에게
"할로윈캔디, 엄마아빠가 다 먹었어!"라고 거짓말했을 때의 아이들 반응을 엮은 영상입니다.
어딜 가나 아이들은 귀엽네요. ㅎㅎ
 
월급 뺏긴 기분이라 하던데...;;;
 
 

 
 
1. 이노베이션 딜럭스 Innovation Deluxe
 
 
비교적 이른 시간에 오신 쿠웨이트박 님과 둘이서 했습니다.
(한글화한 덕분인지) 최근에 이노베이션을 자주 하고 있습니다.
제 기준에서, 2인용 게임으로는 도미니언과 7 원더스 대결만큼 좋다고 생각합니다.
105장이나 되는 카드 풀로 다양한 콤보가 가능해서 매번 기다려지고요.
카드빨이 있을 수밖에 없지만 둘이서 했을 때에 플레잉 타임이 30분 정도여서 고통의 시간 (?)이 그리 길지 않습니다. ㅋ
 
이날 첫 게임에서 쿠웨이트박 님이 초반부터 시대를 건너뛰면서 크게 앞서가셨습니다.
아무래도 나중이 시대 카드의 효과가 더 강력하기 때문에 뒤따라가는 제가 힘에 부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런 저에게 세 번 정도의 기회가 있었는데요.
 
3시대 연금술 도그마 효과를 실행했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이 파먹고 남은 마지막 4시대 카드가 하필 빨간색이어서 뽑아서 공개한 4-5시대 카드들뿐만 아니라 제 손에 있던 카드도 다 날아갔습니다. ㅠ
 
그 다음에 색깔을 위로 펼칠 수 있는 8시대 비행을 딱 한 번밖에 못 썼는데, 바로 덮이고... ㅠㅠ
 
쿠웨이트박 님이 업적 5개를 달성하시고 마지막 업적을 위해 점수를 올리시는데,
제가 6시대 예방접종으로 쿠웨이트박 님의 점수를 열심히 줄이고 있었습니다.
점수를 올리시는 것보다 제가 빼는 게 더 빨라서 이대로 몇 턴 진행하면 이길 수도 있겠다 싶었습니다만...
몇 번 못 쓰고 예방접종이 덮이면서 좌절... ㅠㅠㅠ
 

 
 
바로 두 번째 게임에 들어갔습니다.
이번엔 초반에 1시대 철학 덕분에 보라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깔들이 모두 펼쳐졌습니다.
그리고 4시대 화약으로 점수 올리고 남은 행동으로 업적 달성을 엔진처럼 돌려서 손쉽게 승리했습니다.
 

 
 
게임에 대한 인상
쿠웨이트박:
skeil:
 
 
 
 
2. 팬데믹 레거시: 시즌 2 Pandemic Legacy: Season 2
 
 
 
팬데믹 레거시: 시즌 2의 내용 스포일을 막기 위해서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쿠웨이트박:
skeil:
 
 
 
 
3. 사그라다 Sagrada
 
 
에피아. 님이 오신 후에 쿠웨이트박 님이 가져오신 주사위 게임을 했습니다.
스테인글라스를 연상시키는 사라다? 사그라다를요.
 
게임은 개인 보드에서 강한 임팩트를 주었습니다.
사이쓰가 미플을 끼워놓을 수 있는 홈이 파진 두꺼운 보드를 내놓았고,
리스보아가 보드의 아래쪽을 파서 카드를 끼워놓을 수 있도록 했는데요.
사그라다는 한 발 더 나아가 접착된 판과 판 사이에 얇은 공간을 만들어서 카드를 끼울 수 있게 했습니다!
 
진행은 그랜드 오스트리아 호텔에서처럼 턴이 정방향 후에 역방향으로 드래프팅이었습니다.
각 라운드의 시작 플레이어가 주사위들을 뽑아서 굴리고 자기 차례 때에 남은 주사위를 가져가서 보드에 놓는 것이었습니다.
게임의 시작 시에 받은 창문 종이에 놓는 주사위에 대한 색깔이나 숫자 제약이 있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스테인글라스를 구성하는 주사위들은 가로/세로로 인접한 주사위와 같은 색깔이나 숫자를 공유할 수 없습니다.
몇 수 앞을 예상하며 제약을 피해가며 주사위들을 배치해야 하는데요.
주사위 뽑기와 굴리기, 턴 순서라는 여러 운 요소가 영향을 줍니다.
 
추가 점수를 주는 전체 미션과 개인 미션까지 고려해서 주사위를 가져와야 하는데,
그에 비해서 플레이어가 (선택) 할 수 있는 것이 너무 없다는 게 단점으로 보였습니다.
 
비주얼이 아름다운 것은 게임의 한 가지 특징이지 그 게임 전체를 대변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거든요.
차라리 파티 게임 포지션이었다면 제가 점수를 더 후하게 주었을 텐데요.
사그라다는 파티 게임도 아닙니다.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에피아.:
쿠웨이트박:
skeil:
 
 
 
 
4. 블러드 레이지 Blood Rage
 
 
토르: 라그나로크 개봉 기념으로 블러드 레이지를 소환했습니다.
 

그리고 헬라가 이기면, 헬라윈 (= 핼러윈)...;;;
 
예전에 '로키의 간계'를 한 라운드에 2방 맞고 떡실신당하면서 저의 레이지를 상승시켰던 게임이죠.
 
아유, 이 록희 색희!
 
 
저희 모임에 블러드 레이지 설명의 달인이 있었으나 설명을 시키면 모임에 안 나오실 것 같아서 물천사 님이 대신 설명하셨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이 처음이셔서 카드 드래프팅 없이 했습니다.
티칼 (경매 버전)을 겪으면서 초보자에게 상급 룰로 알려주지 말라는 교훈을 얻었죠.
부딪혀 보면 상급 규칙이 필요한 이유를 저절로 깨닫게 되더라고요.
 
'록희 색희의 간계' 카드는 사용되면 버리는 걸로 바꿔서 진행했습니다.
 
1시대에 퀘스트가 2장 있었습니다.
전투가 자주 발생해서 생각보다 많이 죽더라고요.
안 싸우고 싶어도 싸움에 말려들어서 죽기도 하니까요. ㅠ
발할라에 많은 병력들이... 주륵;;;
퀘스트를 다 성공했고, 약탈도 잘 해서 스탯이 잘 올랐습니다.
 
2시대에서 에피아. 님이 배를 업그레이드 하셔서 들이대시더라고요. 흥국이 형~
에피아. 님은 전투에서 져도 즉시 전사를 새로 놓을 수 있었고, 배가 파괴될 때에 4점도 받으시고요.
저는 퀘스트 카드가 하나도 안 나와서 스탯을 조금밖에 못 올렸습니다.
 
3시대에 제 레이지 스탯이 엄청 높아서 마음 편하게 했습니다.
그러나 에피아. 님이 라그나로크와 퀘스트 관련 점수를 올리셔서 20여 점 차이로 승리하셨습니다.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에피아.:
쿠웨이트박:
skeil:
 
 
 
 
5. 브룸 서비스: 카드 게임 Broom Service: The Card Game
 
 
노린 건 아니었는데, 핼러윈에 맞춰서 마녀가 나오는 게임을 하게 되었습니다.
미디엄 박스에서 마녀의 물약이 빅 박스의 브룸 서비스로, 그리고 그걸 마지막 한 방울까지 짜 내서 (?) 베리 스몰 박스로 카드 게임이 나왔습니다.
알레아 컬렉팅 때문에 사긴 했는데요.
이 안에 들어 있는 브룸 서비스 프로모 카드 세트에도 방점이 찍혀 있습니다.
어차피 살 거긴 했는데, 욕이 나올 만 한 상술이죠.
 
전날에 B.B.빅을 끝내고 집에 들어가서 이 게임의 룰북을 읽는데...
'내가 이해한 게 맞나?'
싶더라고요.
게임이 너무나 간단한 겁니다!
그런데 그게 맞았습니다...
그렇습니다, 이 게임의 게임성은 그게 전부였던 겁니다. ㅠㅠ
브룸 서비스에서 한 숟갈 떠서 만든 미니 게임 느낌적인 느낌 느낌!
스티커 때문에 먹기 싫은 피카츄 빵을 산 느낌.
 
게임이 시작 시에 카드 15장을 받고 그 중 3종류를 1장씩 추립니다.
그 3장으로 브룸 서비스 게임 한 라운드를 합니다.
그걸 네 라운드 하면 끝납니다;;;
테이블 가운데에 미션 같은 게 있어서 세트를 만들면 추가 점수가 있습니다.
이게 전부에요!
 
끝나자마자 광속으로 치워서 사진도 못 찍었어요!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에피아.:
쿠웨이트박:
skeil:
 
 
 
 
6. 판타지 렐름즈 Fantasy Realms
 
 
그리고 나서 에피아. 님이 가져오신 카드 게임을 했습니다.
디자이너 이름을 보니, 오잉?
제가 아는 사람이에요! 당연히 그 사람은 저를 몰라요! ㅋㅋ
언집배 작가 아저씨!
 
에피아. 님에게서 설명을 들었습니다.
핸드는 7장, 턴마다 한 장을 가져오고 한 장을 버린다.
버려진 카드가 10장이 되면 끝난다.
핸드의 카드 7장으로 점수계산을 한다.
이렇게 비유를 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이것은 판타지 '마작'이었습니다;;;
 
카드마다 시너지, 혹은 안티-시너지가 나는 조합이 있어서 각 카드마다 점수계산을 따로 해야 했습니다.
점수용지가 비정상적으로 큰 이유가 있었네요.
 
카드 텍스트를 다 읽어야 해서 진입장벽이 있는 것 같습니다.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에피아.:
쿠웨이트박:
skeil:
 
 
 
 
7. 죽은 자들의 날 Dia de los Muertos
 
 
마지막으로, 핼러윈에 딱 어울리는 카드 게임을 했습니다.
원래 계획에 없었는데, 이날 브룸 서비스: 카드 게임을 챙기면서 그 위에 놓았던 이 게임이 보이길래 가져가 봤습니다.
 
이건 지킬 앤 하이드라는 팀플 트릭-테이킹과 비슷한 면이 있습니다.
똑같이 팀플이고, 점수가 되는 카드를 짝지어야 합니다.
멕시코 핼러윈 데이는 3일 동안 치러지고, 첫날은 동물의 영혼, 둘째 날은 아이의 영혼, 셋째 날은 어른을 영혼이 찾아온다고 합니다.
그 영혼들을 위해 음식을 마련하는데요.
이 게임에서 세 번의 각 라운드마다 해당하는 날의 영혼과 음식 카드가 추가되어 덱을 구성합니다.
그 영혼과 음식 카드가 짝을 이룰 때마다 득점하는 것이죠.
그리고 일부 카드에는 효과가 있어서 게임을 살짝 뒤틀어줍니다.
 
팀플이라는 묘미도 있고, 테마도 살아 있는 좋은 카드 게임이라 생각합니다.
보틀 임프보다 이게 더 재판 가치가 있어 보여요. (이 게임에 홀린 에피아. 님의 영혼이 밤마다 중고장터에서 배회한다는 소문이...)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에피아.:
쿠웨이트박:
skeil:
 
 
 
 
주말에 뵙겠습니다.
Posted by Mounted Cloud
크고 아름다운 보드게임들을 위한,
타일에놀 B.B.빅
 
 
 
 
왕조를 만들려는 자들
 
 

 
 
노리고 한 건 아니었는데, 우연히도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기간에 플레이를 했고, 마지막 경기가 끝나자마자 후기를 올리게 되었네요.
네이션스 + 왕조들 확장을 말이죠.
 
프로야구에서 보통 연속으로 3시즌 동안 우승을 하면 그 팀이 '왕조를 이루었다'고 말합니다.
기아 타이거즈 (+ 전신이었던 해태 타이거즈)는 어제 끝난 2017시즌을 포함해서 총 11번 우승했고, 1986년부터 1989년까지 4년 연속 우승을 했죠.
(그러나 IMF를 거치며 선수들을 내다 팔면서 해태 왕조가 몰락했습니다. ㅠㅠ)
재작년부터 팀 리빌딩을 하며 신왕조를 세울 각오를 다졌는데요.
 
한편 프로야구 원년에 우승했던 당시 OB 베어스는 현재 두산 베어스죠.
2015년과 2016년 연속 2시즌 우승했고, 드디어 올해가 '베어스 왕조'로 불리느냐 마느냐가 걸린 시즌이었습니다.
 
 
어제 끝난 마지막 한국시리즈 경기에서 팬들의 심장에 무리가 가는 아슬아슬한 승부가 펼쳐졌습니다.
기아 타이거즈가 중반까지 무려 7점을 내며 우승을 쉽게 확정짓는가 싶더니만
7회말에 두산 베어스가 6점을 내면서 한 점차 승부로 가져갔습니다.
그리고 9회말, 두 팀 감독이 운명을 건 포커 게임을 시작했는데...
 
김태형: 손패 뭐임? 까봐 까봐!
김기태: 나? (양아들) 김주형! ㅋㅋㅋ - 송구 실책 저지르고 1사 주자 2, 3루 만듦!
김태형: 내 패는 (양아들) 김재호! ㅋㅋㅋ - 2사 만루에서 초구 건드려서 포수 파울 플라이 치고 경기 끝.
 
양팀 팬들 병 걸리게 하는 두 분...;;;
 
아무튼 올해 야구 덕분에 즐겁게 보냈는데, 모든 경기가 끝나서 아쉽네요. ^^;;
내년 봄까지 어떻게 기다린담...;;;
 
 

 
 
 
저는 네이션스를 좋아합니다.
쓰루 디 에이지스를 먼저 알게 되었지만 네이션스 쪽이 더 잘 맞았습니다.
쓰루 팬이라면, 제가 쓰루의 맛을 제대로 몰라서 그런다고 말씀하실 수도 있는데요.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저는 관점을 다르게 하고 싶네요.
 
모임에서 게임 규칙 설명을 하고 게임을 소개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네이션스는 굉장히 좋은 문명 게임입니다.
설명할 것이 생각보다 적고, 진행은 직관적이고, 모든 정보가 공개되어 있습니다.
전략 게임을 어느 정도 해 본 플레이어라면 쉽게 감을 잡습니다.
게임 내에 자원이 여러 가지 있어서, 균형있게 운영하는 맛도 훌륭하고요.
쓰루 디 에이지스에는 없는, '서로 다른 국가'도 네이션스가 가지는 장점 중 하나고요.
 
 
지난 토요일에 네이션스를 하려고 인원을 모았으나 쿠웨이트박 님과 물천사 님만 가능하셨습니다.
그런데 두 분도 일찍부터 시간이 가능하신 것도 아니어서 좀 불안불안 했지만 두 분 다 참석하셔서 잘 진행되었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이 오후 4시 즈음 오셔서 2인으로 세팅을 하고 기본판 규칙을 설명해 드렸습니다.
상트 페테르부르크를 여러 번 해 보셔서 네이션스의 규칙을 빠르게 이해하셨습니다.
끝날 때 즈음에 제가 '상트 페테르부르크와 쓰루 디 에이지스 사이에 네이션스가 있다'고 말한 이유를 이해했다고 하시더군요. ^^
둘이서 하니까 4시대 끝까지 진행해도 2시간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은 첫 플레이였지만 저와 불과 4점차밖에 나지 않았습니다. (38점 : 34점)
재미있다고 하셔서 소개해 드린 저도 기뻤고요.
 
 
 
 
 
네이션스 + 네이션스: 왕조들 Nations + Nations: Dynasties
 
 
오후 6시가 넘어가자 물천사 님이 도착하셨습니다.
심신이 피곤하실 텐데 오셔서 감사했습니다.
 
예전에 물천사 님이 저와 왕조들 확장을 같이 하셨습니다.
딱 한 번이었고, 꽤 오래 전 일이어서 쿠웨이트박 님과 같이 확장 룰 설명을 들으셨습니다.
 
왕조들 확장에는 제목처럼 국가마다 할당된 2장의 왕조 카드가 있습니다.
왕조 카드에는 패시브 효과가 적혀 있고, 혼란 카드를 가져오는 행동을 통해서만 왕조 카드 1장을 내릴 수 있습니다.
혼란 카드를 가져오면 그 라운드의 종료 시까지 자신의 국가의 안정도가 2단계 내려갑니다.
왕조가 바뀌면 세상이 혼란하다, 뭐 그런 거겠죠. ㅎㅎ
 
두 번째로 이 확장에 추가된 것은 천연 불가사의입니다.
기본판이 불가사의는 인류가 인공적으로 만든 것들인데 반해 이 천연 불가사의들은 인류가 발견한 자연경관 같은 것들입니다.
공급처에 있는 건축가 마커를 가져와서 해당 카드에 올려 놓는 것은 같으나,
돌을 지불해야 하는 인공 불가사의와 달리, 천연 불가사의에는 아무 자원도 지불하지 않고 올려 놓습니다.
대신에 페널티로서 발견 중인 천연 불가사의를 가지고 있으면 건축가 마커를 가져오는 행동 이외에 아무 행동도 할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진보 카드를 가져오는 게 급하지 않을 때나 다른 플레이어들이 라운드에서 나갔을 때에 합니다.
 
이날은 아주 공정한 방법으로 턴 순서를 정했습니다.
저 - 물천사 - 쿠웨이트박 순이어서 역순으로 국가 보드를 선택했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은 한국을 크~ 국뽕에 취한다, 물천사 님은 페르시아를, 저는 토르 때문에 바이킹을 골랐습니다.
 
바이킹은 기본 능력은 생산 소단계 직후에 자원 1종류를 선택해서 다른 플레이어들이 그 자원 1개를 버리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약탈인가 봅니다.)
바이킹의 왕조는 Varangian 바랑인과 Norman 노르만인인데요.
전자는 조언자를 구입할 때마다 +4책을 주고, 후자는 전투 카드에서 참조하는 분노에 +3을 줍니다.
 
페르시아는 기본 능력이 없는 대신에 식민지 슬롯이 하나 더 많습니다.
그리고 시작 자원도 다른 국가들에 비해 조금 더 많아서 풍족하죠.
페르시아의 왕조로는, 성장 소단계 때에 인구를 늘렸을 때에 첫 액션으로 그 인구를 공짜로 배치할 수 있는 Achaemenid Empire 아케메네스 제국과
돈 2개를 받기 위해 혼란 카드를 가져올 때에 그 혼란 카드를 바로 버리는 Sassanid Empire 사산 제국이 있습니다.
 
한국은 황금기 카드를 구입하면 건축가 2개를 공짜로 가져와서 놓을 수 있습니다.
라운드마다 할당되는 건축가가 아니라 공급처에 있는 걸 가져오는 거여서 꽤 좋아 보였습니다!
고려 왕조는 전쟁 해결 소단계에서 군사 건물에 놓인 인구마다 +3전투력을 주고,
조선 왕조는 라운드마다 1번, 행동으로서 왕조 카드에 자신의 자원 1종류를 3개까지 올려 놓고 해결 단계 이후에 왕조 카드에 놓은 자원을 3배로 만들어서 가져오는 것입니다.
 
 
제1-2라운드
 
물천사 님이 사산 제국을 내리셨습니다.
이건 앞으로 혼란 카드를 페널티 없이 +2돈으로 쓰면서 혼란 카드를 소진시키겠다는 신호였습니다.
 
2라운드에 물천사 님은 두 턴에 걸쳐 혼란 카드 2장을 가져와서 페널티 없이 돈 4개를 얻으셨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은 전쟁을 대비해서 고려를 내리셨고요.
 
라운드 바이킹 (skeil) 페르시아 (물천사) 한국 (쿠웨이트박)
생산량
1 4 1 1 2 0 1 2 0 0 2 3 0
2 3 3 1 4 0 1 4 0 0 0 1 0
 
생산 직후에 저는 두 분이 돌을 1개씩 버리게 했습니다.
전쟁에서 물천사 님만 패배했고요.
이벤트는 팍스 로마나 (skeil +1점)와 한 왕조 (물천사 +1인구 +3쌀)이었습니다.
 
2라운드의 생산 직후에 저는 쌀을 버리게 했습니다. ㅎ
제가 생산을 보완하기 위해 군사력을 포기했는데, 이 때문에 전쟁에서 저만 패배했습니다.
이벤트는 황건적 반란 (skeil -3쌀)과 스파르타쿠스 반란 (쿠웨이트박 턴 순서 맨 뒤로)였습니다.
 
책 자원 관리를 잘 한 덕분에 1시대 종료 시에 저는 +2점, 쿠웨이트박 님은 +1점을 받았습니다.
 
 
제3-4라운드
 
쌀 생산을 높이는 건물과 식민지 덕분에 저의 쌀 생산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4라운드에 드디어 저도 왕조 카드를 내렸습니다.
조언자로 세종대왕 카드를 가져올 계획이어서 바랑인을 선택했습니다.
 
라운드 바이킹 (skeil) 페르시아 (물천사) 한국 (쿠웨이트박)
생산량
1 4 1 1 2 0 1 2 0 0 2 3 0
2 3 3 1 4 0 1 4 0 0 0 1 0
3 8 2 4 4 0 2 6 3 2 -1 6 6
4 7 3 4 4 6 4 5 3 3 2 5 6
 
생산 직후에 쌀을 약탈했는데요.
쌀을 다 쓴 물천사 님은 자원 부족이 일어나서 -1점을 받고 책으로 냈습니다.
여전히 군사력이 낮아서 전쟁에서 저만 패배했습니다.
이벤트는 봉건적 부과조 (턴 순서 그대로)와 만사 무사(쿠웨이트박 -4돈)이었습니다.
 
4라운드의 약탈은 또 쌀이었습니다.
전쟁은 없었고요.
이벤트는 제4차 십자군 원정 (skeil -4책)이었습니다.
 
불가사의 완성으로 쿠웨이트박 님이 책에서 역전하시면서 쿠웨이트박 님이 +2점, 제가 +1점을 얻었습니다.
 
 
제5-6라운드
 
생산체제를 바꾸었습니다.
저는 쌀이 너무 많아서 부족한 돈을 높였고, 물천사 님은 돌을 내리고 책을 올렸습니다.
 
6라운드에 여전히 쌀이 많은 저는 책을 크게 높였고, 책 트랙에서 앞선 쿠웨이트박 님은 책 생산을 포기했습니다.
 
라운드 바이킹 (skeil) 페르시아 (물천사) 한국 (쿠웨이트박)
생산량
1 4 1 1 2 0 1 2 0 0 2 3 0
2 3 3 1 4 0 1 4 0 0 0 1 0
3 8 2 4 4 0 2 6 3 2 -1 6 6
4 7 3 4 4 6 4 5 3 3 2 5 6
5 5 3 6 4 6 2 7 8 3 2 5 6
6 3 3 6 11 5 2 6 8 6 5 7 0
 
또 쌀을 약탈했고, 전쟁 없이 평화로웠습니다.
이벤트는 튤립 파동 (skeil -1점)과 강희제 시대(물천사 +3돈)이었습니다.
 
6라운드에도 계속 쌀을 약탈했습니다.
물천사 님이 전쟁에서 패배해서 승점을 잃었습니다.
이벤트는 검은 수염 (물천사 -5돈)과 인권보호법 (물천사 +1점)이었습니다.
 
책 트랙에서 여전히 앞선 쿠웨이트박 님이 +2점, 제가 +1점이었습니다.
 
 
제7-8라운드
 
라운드 바이킹 (skeil) 페르시아 (물천사) 한국 (쿠웨이트박)
생산량
1 4 1 1 2 0 1 2 0 0 2 3 0
2 3 3 1 4 0 1 4 0 0 0 1 0
3 8 2 4 4 0 2 6 3 2 -1 6 6
4 7 3 4 4 6 4 5 3 3 2 5 6
5 5 3 6 4 6 2 7 8 3 2 5 6
6 3 3 6 11 5 2 6 8 6 5 7 0
7 0 8 6 9 5 2 8 28 8 15 5 0
8 -5 11 8 7 5 6 8 52 12 -1 8 -2
 
7라운드에서 돌을 약탈했고, 전쟁은 없었습니다.
이벤트는 드레퓌스 사건 (쿠웨이트박 -8책)이었습니다.
 
8라운드에서 쌀 약탈로 다시 바꾸었고, 전쟁에서 물천사 님만 패배했습니다.
이벤트는 모스크바로의 행진 (물천사 -1식민지)와 타이핑 반란 (쿠웨이트박 -10책)이었습니다.
 
책을 포기한 쿠웨이트박 님과 책을 폭발시킨 물천사 님으로 인해 물천사 님이 +2점, 제가 +1점을 얻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3시간 동안 길고 길었던 네이션스와 왕조들 확장 플레이가 끝났습니다.
 
바이킹인데 세종대왕이 조언자...;;; 형이 왜 거기서 나와?
 
페르시아인데 나이팅게일이 조언자...;;; 그리고 노트르 담 성당이...;;;
 
한국인데 베르사유 궁전과 503 마리 앙투아네트 콤보가...;;; 콜로세움과 타지마할은 또...;;;
 
 
최종 점수계산
 
  바이킹 (skeil) 페르시아 (물천사) 한국 (쿠웨이트박)
승점 토큰 9점 3점 8점
식민지 3점 2점 1점
불가사의 -1점 2점 7점
민간건물 9점 10점 11점
군사건물 5점 0점 3점
나머지 9점 (96) 14점 (141) 7점 (75)
총점 34점 31점 37점
 
캬~~ 국뽕에 취한다
 
 
 
 
그러면 타일에놀 B.B.빅 세션 #13에서 또 뵙겠습니다.
2주 후에 뵙겠습니다~
Posted by Mounted Cloud
정기모임 후기/2017년2018. 3. 17. 07:00
에쎈 즈음에
 
 
 

 
한 단계 떨어져간다 내버린 담배 컴포처럼
작기만 한 내 상자 속에 무얼 채워 하고 있는지
 
점점 더 떨어져간다 머물러 있는 순위인 줄 알았는데
비워가는 내 포럼 속에 더 아무것도 찾을 수 없네
 
에쎈은 다시 돌아오지만 떠나간 내 팬들은 어디에
내가 떠나보낸 것도 아닌데 내가 떠나온 것도 아닌데... ㅠ
 
조금씩 잊혀져간다 머물러 있는 명성인 줄 알았는데
한 단계 떨어져간다 매일 하락하며 살고 있구나
매일 하락하며 살고 있구나... ㅠㅠ
 
 

 
 
불참을 예고하신 분만 두 분이어서 이번 모임이 거의 폭파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토요일에 키니 님이 참석 댓글을 달아 주시면서 기적적으로 폭탄이 해체되었습니다 (?)...
새 게임들을 가지고 멀리 안양까지 오셔서 저희와 놀아 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ㅎㅎ
 
 
1. 아컴 호러: 카드 게임 Arkham Horror: The Card Game
 
 
정오에 거의 맞춰 도착하니 키니 님이 벌써 와 계셨습니다.
키니 님이 여러 새로운 게임을 준비해 오셨는데요.
핫한 2인용 LCG를 배워 보기로 했습니다. ^^
 
아컴 호러: 카드 게임은 현재 긱 순위 19위입니다.
왜 평이 좋은지 궁금했었는데, 키니 님 덕분에 드디어 해 볼 기회가 생겼네요.
이 게임은 기본적으로 2인 게임입니다.
한 카피를 더 추가하면 4인까지 할 수 있다고 하네요. (FFG가 또...)
제목답게 아컴 세계관을 카드로 구현했습니다.
진행은 TCG에 액션 포인트 허용 시스템을 넣었는데, 타임 스토리즈처럼 스토리 기반입니다.
한 번 해 보면 같은 시나리오로 다시 하기가 좀 그럴 것 같네요. 그래서 확장이 있지요.
 
코어 세트에는 5명의 인물이 있고, 인물마다 시작 덱 구성이 추천되어 있습니다.
물론 상자에 들어 있는 다른 세트로 덱을 커스터마이징해서 진행해도 됩니다.
시나리오는 3개의 부분으로 나눠져 있는데요.
첫 번째 것부터 차례대로 진행했습니다.
 
제1부는 누군가의 집에서 시작합니다.
그런데 신비하게도 들어온 문이 벽으로 막히고 탈출구를 찾아야 했죠.
시작 방은 카드로 표현되어 있는데, 장소에 도착하면 장소 카드가 뒤집어지고 정해진 만큼의 조사 토큰이 올라갑니다.
조사 행동을 통해 조사 토큰을 획득할 수 있고, 그 조사 토큰들을 모아서 액트를 진행시키는 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진행은 아젠다와 액트로 하는데요.
아젠다는 미리 정해진 파멸의 시나리오입니다.
게임 속에서 시계 역할을 하며 카드 효과를 통해 아젠다에 파멸 토큰이 올라가고, 일정 개수가 모이면 다음 아젠다로 넘어갑니다.
아젠다는 안 좋은 일을 격발합니다.
반면에 조사 토큰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액트는 플레이어들에게 목적이라고 보면 되겠네요.
그러니까 마지막 아젠다까지 가면 안 좋게 끝나고, 마지막 액트까지 가면 좋게 끝납니다.
 
카드는 모은 자원을 소비해서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저는 마법사 여캐릭터로 했습니다만 마법 카드를 쓸 자원이 안 모여서 제대로 쓴 게 없었네요. ㅠ
어쨌거나 제1부는 잘 클리어했습니다.
한 90분 정도 걸렸던 것 같아요;;;
 

 
 
여세를 몰아서 제2부를 했습니다.
제2부는 아컴 중심지였습니다.
그런데 더러운 타일빨 때문에 게임이 잘 풀리지 않았습니다.
어질리티 테스트를 하는데 실패하니까 정신이 어질 어질...;;;
아, 캐릭터마다 스탯 4개가 있습니다.
특정 스탯으로 테스트를 할 때에 스탯 숫자에 카드 효과 등으로 스탯을 일시적으로 올릴 수 있고요.
문제는 스탯 테스트를 할 때에는 반드시 타일을 뽑아서 수정치를 가해야 합니다.
그런데 수정치는 나쁜 게 많아요. ㅠㅠ
뽑은 타일을 풀에 다시 넣기 때문에 주사위 굴리는 것과 비슷한데요.
시나리오 난이도를 올릴수록 더 안 좋은 타일을 많이 넣고 뽑는 것 같습니다. ㅠ
 
역시 90분 정도 걸린 것 같은데 클리어하지 못했습니다. ㅠㅠ
 
 
쿠웨이트박 님이 언제 오실지 몰라서 마지막 제3부까지 하기로 했습니다.
장소는 숲이었습니다.
제2부를 클리어하지 못해서 페널티를 먹고 했습니다.
캠페인 게임이어서 이전의 결과가 나중의 시나리오에 영향을 주더라고요. ㅠㅠ
미로 같은 숲 속을 헤매면서 무언가를 찾았는데요.
결국 고대의 존재가 튀어나오면서 망하기 직전이 되었습니다.
제가 트라우마까지 앓으면서 지켜온 동료 덕분에 찝찝한 결말을 맞이할 수 있었습니다.
 

 
 
게임에 대한 인상
키니:
skeil:
 
 
 
 
2. 버건디의 성들: 주사위 게임 The Castles of Burgundy: The Dice Game
 
 
키니 님이 가져오신 버건디 여사의 늦둥이인, 버건디의 성: 주사위 게임을 했습니다.
겉모습만 보면 카드 게임 버전하고 거의 같습니다.
넘버링은 베리 스몰 박스 4번이고요.
 
내용물은 매우 단촐합니다.
주사위 5개, 연필 4개, 용지 한 묶음, 규칙서. 끝! (카드 게임 버전에는 카드라도 많이 들어 있었는데, 이게 뭐임?)
(알레아 게임들을 모으고 있어서) 약간의 실망감을 안고 시작했습니다.
 
게임은 마카오에 생 말로를 합쳐 놓은 것 같았습니다.
마카오에서처럼 공용으로 선택하는 주사위가 있는데, 시작 플레이어만 굴립니다.
각 플레이어는 굴려진 주사위들 중에서 원하는 조합으로 2개를 선택합니다.
플레이어가 주사위를 실제로 가져가는 것이 아니어서 다른 플레이어가 이미 선택한 주사위를 골라도 됩니다.
 
맵은 보드 게임 버전과 비슷하지만 지식이 없고 그 자리에 수도원이 있습니다.
각 헥스는 필요한 주사위 결과 조합이 정해져 있습니다.
수도원은 보라색 한 개와 '1'이나 '2' 한 개, 은광은 회색 한 개와 '3'이나 '4' 한 개, 선박은 파란색 한 개와 '5'나 '6' 한 개.
도시 헥스는 반드시 주황색 한 개를 써야 하고, 도시 영역은 서로 다른 숫자로만 채워져야 합니다.
동물은 도시와 반대로 동물 영역은 서로 같은 숫자로만 채워져야 하고, 노란색 한 개를 써야 합니다.
뭐, 이런 식입니다.
 
시작 플레이어가 굴리는 5개의 주사위 중에서 한 개는 시계처럼 시간이 흘러가게 하는 것이고, 나머지 2개는 색깔, 나머지 2개는 숫자입니다.
각 플레이어는 시간 주사위에서 나온 눈금만큼 시간의 흐름을 표시합니다.
시간이 페이즈마다 10칸 정도 있어서 라운드의 10번째 칸에 'X'표를 하면 그 라운드까지 하고 점수계산을 합니다.
페이즈는 3개인데, 페이즈마다 적게는 5라운드, 많게는 10라운드 할 수 있는 겁니다.
 
라운드마다 기본적으로 한 액션만 할 수 있습니다.
색깔 주사위 1개와 숫자 주사위 1개로 헥스 하나에 표시하고 끝납니다.
만약 특정 영역을 완성하면 점수를 표시합니다.
그리고 특정 색깔을 모두 완성하면 보너스 점수도 받습니다.
 
좀 씹다 뱉은 느낌이지만 버건디의 단물 맛은 확실히 납니다. ㅋ
이렇게 표현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버건디의 성에 얼마나 가깝게 구현했는가는
 
버건디의 성: 카드 게임 <<<< 버건디의 성: 주사위 게임 <<<< 버건디의 성 (보드 게임)
 
12월의 알레아 퀘스트로, 버건디의 성: 주사위 게임 차례가 돌아오니 그때 더 자세하게 얘기할게요.
 
동점으로 끝났는데, 남은 자원이 많아서 승리했습니다.
 

 
 
게임에 대한 인상
키니:
skeil:
 
 
 
 
3. 도미니언 (2판) + 도미니언: 씨사이드 + 도미니언: 프로스페러티 + 도미니언: 코르뉴코피아 + 도미니언: 엠파이어스 Dominion (Second Edition) + Dominion: Seaside + Dominion: Prosperity + Dominion: Cornucopia + Dominion: Empires
 
 
쿠웨이트박 님이 오실 가능성이 보여서 오래 안 걸리면서 키니 님이 하고 싶으신 게임으로 골랐습니다.
도미니언: 엠파이어스가 무척 하고 싶다고 하셨거든요.
 
첫 경기의 왕국 카드 세트는 아래처럼 나왔습니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건 Pirate Ship 해적선이었습니다.
그 다음에 '액션 부스팅할 카드가 있나?'였는데요.
없었습니다... 아니, 완전히 없는 건 아니었습니다.
그 방법으로 우회하려면 구입을 늘려야 했습니다.
그러면 제목처럼 센 Goons 폭력배들이 필요합니다.
덱을 줄일 수 있는 수단으로 Sentry 보초병이 있네요!
 
해적선으로 상대의 덱을 때리면 동화가 빠지면서 상대 덱이 얇아집니다.
잘못하면 상대를 도와주는 꼴이 되지만 해적선 토큰이 쌓여서 게임을 길게 보면 도움이 됩니다.
그런데 해적선보다 보초병을 선택하면 상대도 보초병을 따라오면서 덱에서 동화와 사유지를 제거하기 때문에
나중에 해적선으로 갔을 때에 공격 성공 확률이 떨어집니다.
그러면 결론은 오프닝에서 해적선과 은화.
해적선으로 공격하는 한편, 은화를 바탕으로 보초병을 간다!였습니다.
 
초반에 운이 좋아서 해적선 공격도 번번이 성공했고, 보초병도 일찍 갔습니다.
키니 님이 초반에 6원 이상 나왔을 때에 장고 끝에 금화를 구입하셨는데요.
정말 운이 좋게도 돌아오는 제 해적선으로 그 금화를 뺐습니다!
그 한 방으로 키니 님의 초반 빌드가 와르르 무너진 겁니다.
 
키니 님이 복구하시는 동안에 저는 보초병을 2개 돌리면서 덱을 최적화했습니다.
제가 그린 설계도대로라면 완성된 덱은 드로우도 잘 되고 돈도 많습니다.
저는 덱을 최대한 골고루 넣어서 만들었습니다.
그러면 Menagerie 동물원으로 3장을 뽑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덱이 최적화되고 돈이 늘어나자 폭력배들을 구입했습니다.
이 카드는 상대 핸드를 공격할 뿐만 아니라 +2원과 승점 토큰도 주고, 저에게 가장 중요한 추가 구입도 줍니다.
제가 이 구입을 어디에 쓰려는 걸까요?
 
이벤트로 프로모 카드인 Summon 소환이 나왔습니다.
비용이 5원짜리인데요.
저비용 카드 1장을 얻어서 한쪽에 두고 다음 턴의 시작 시에 플레이합니다.
이번 경기에서 저비용 카드 중에 캔트립 카드가 2개나 나왔습니다.
소환으로 얻은 캔트립 카드는 액션을 소비하지 않고 플레이되기 때문에 다음 턴에 2액션으로 시작하는 것과 같아집니다!
제가 소환으로 Pearl Diver 진주조개 잡이나 동물원을 얻고,
다음 턴에 해적선으로 모은 돈과 폭력배들이 주는 돈 그리고 기본 재물 카드를 합쳐서 13원 이상 만들면 무한 콤보가 완성됩니다.
폭력배들 때문에 구입이 2개가 되어서 소환으로 또 캔트립 카드를 얻고 남은 구입으로 속주를 구입하면 이 덱은 매턴 굴러갑니다.
이 덱이 돌면 상대는 턴마다 핸드에 3장으로 시작해서 운영을 못 합니다.
 
결국 전 이 덱을 만들었고 길고 길었던 첫 번째 경기에서 역전승했습니다.
 
 
두 번째 경기의 왕국 카드 세트는 아래처럼 나왔습니다.
 

 
이전 경기에서 패배한 키니 님이 시작 플레이어였습니다.
두 사람 모두 3원-4원 스플릿이어서 오프닝에서 은화와 Ambassador 대사를 구입했습니다.
대사는 초반 필수 빌드였습니다.
대사 싸움에서 밀리면 덱이 두꺼워져서 중반부터 덱이 안 돌아갑니다.
제가 마음에 걸려 했던 게 셔플 운이었습니다.
이 세트에서는 셔플 운이 매우 중요했거든요.
 
상대적으로 시작 플레이어인 키니 님이 훨씬 유리했습니다.
대사는 몇 번째 턴에 쓰는지, 그리고 몇 장의 카드를 반납하는지에 따라 효율이 갈립니다.
오프닝에서 구입했을 경우, 빠르면 3턴, 늦으면 5턴에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시작 플레이어라면 대사가 늦어도 4턴에만 나오면 상대가 3번째 사이클을 위한 셔플을 하기 전에 상대의 덱에 불필요한 카드를 줄 수 있습니다.
시작 플레이어가 아니라면 반드시 3턴에 나와야 상대가 셔플하기 전에 카드를 먹일 수 있죠.
이날에 둘 다 4턴에 대사가 나오면서 키니 님이 저한테 사유지를 주시고 셔플,
저는 그 사유지를 받고 제 4번째 턴에 키니님의 비어 있는 버리는 더미에 사유지를 드렸습니다.
키니 님의 덱에는 제가 드린 사유지가 없지만 제 덱에는 키니 님에게서 받은 사유지가 있습니다.
그 한 사이클 동안에 키니 님의 덱이 더 좋기 때문에 격차가 벌어지기 시작합니다.
 
저는 그 차이를 따라가기 위해 대사를 2장 돌리기로 했습니다.
3턴과 4턴에 Fishing Village 어촌과 대사를 한 장씩 더 구입했는데요.
 
저의 세 번째 사이클에서 최악의 결과가 나오고 맙니다.
2번째 사이클의 일부가 섞인 5번째 턴 핸드에 나중에 산 어촌이 들어왔습니다.
제 덱에는 대사가 2장 남아 있다는 뜻이죠.
대사가 한 핸드에 같이 나오지 않으면 상관 없습니다.
 
그런데 6턴에 돈만 나왔습니다.
그렇다면 다음 턴에 대사가 몰려서 나온다는 뜻.
어촌이 효과도 이번 턴에 끝나서 다음 턴에 대사 2장 중 하나밖에 못 씁니다.
격차를 줄이려고 Witch 마녀를 사고 턴을 끝냈습니다.
 
덱의 밑에 있던 것들 중에 대사 2장이 있었습니다.
핸드가 덜 차서 셔플해서 핸드를 채웠는데... 세상에... 방금 전 턴에 산 마녀가 들어왔습니다;;;
액션은 하나뿐인데 터미널 카드가 3장, 그냥 3장도 아니고 초반에 너무나 중요한 3장이 몰려 나왔습니다.
이건 이번 사이클에서 제가 추가 공격을 못 하고 맞기만 해야 한다는 뜻이었습니다.
덱 두께 차이가 앞으로 더 벌어져서 제가 못 따라간다는 겁니다.
 
사실 상, 거기서 게임이 끝났습니다.
온라인이었다면 gg치고 나갔습니다.
그런데 전 경기에서 키니 님이 끝까지 하셨기 때문에 중간에 끊기가 좀 그랬습니다. ㅠ
 
결과는 제가 예측한 것보다도 훨씬 더 안 좋았습니다.
키니 님이 Prince 왕자를 구입하셨는데, 나중에 왕자와 대사가 같이 잡혀서 그 둘을 묶으셨거든요.
저는 매턴 사유지나 저주, 동화를 받으면서 운영했습니다.
뭐랄까요, 바다에서 집채만한 파도가 몰려오는데 제가 먼 바다로 나가려고 헤엄치고 있는 상황?
 
 
게임에 대한 인상
키니:
skeil:
 
 
 
 
4. 휘슬 스탑 Whistle Stop
 
 
쿠웨이트박 님이 오셔서 3인이 할 수 있는 게임으로 바꾸었습니다.
키니 님이 가져오신 따끈따끈한 신작을 했습니다.
상자와 구성물을 보고 이거 설마 에이지 오브 스팀이나 18XX인가 싶었는데, 다행히 아니었습니다.
퍼블리셔인 Bézier Games 베지어 게임즈는 서버비아나 미친 왕 같은 가벼운 (전략) 게임을 만들어 왔으니까요.
 
철로를 이용해서 물품을 수송하는 건 있는데, 세트 컬렉션이 좀 강조되어 있었습니다.
시작 시에 미리 놓은, 또는 플레이어들이 게임 중에 놓은 도시에 필요한 자원들이 적혀 있어서 그 자원들을 가지고 들어가면 해당 철도회사 주식이나 점수를 얻는 식입니다.
도시 중에는 자원을 보충해 주거나 변환해주는 곳도 있었습니다.
 
라운드마다 돌아가며 턴을 가지는데, 최대 4액션을 다 하고 턴을 넘깁니다.
액션을 할 때에는 석탄이나 호루라기를 써야 합니다.
 
초반에는 할 수 있는 행동이 석탄이나 호루라기를 이용한 이동밖에 없지만
업그레이드 기어를 구입하면 그 기어에 적힌 다른 행동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어떤 기어(들)을 끼우느냐에 따라 게임을 풀어가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게임의 테마가 서부개척시대여서 동부에서 출발하는 기차는 동쪽으로 되돌아올 수 없습니다.
예외가 있다면 호루라기를 사용한 이동뿐입니다.
 
인원수에 맞게 정해진 라운드가 모두 끝나면 각 철도회사에 대한 메이저리티 점수와 기어 점수, 자잘한 점수를 추가로 얻습니다.
 
 
초반에 키니 님과 제가 철도회사 주식을 반수 이상 가져가서 쿠웨이트박 님이 소외되었습니다;;;
저는 기어를 빨리 구입해서 행동의 종류를 늘렸습니다.
라운드이 시작 시마다 배급받는 석탄 수가 많지 않아서 석탄을 넣고 석탄을 2개 먹는 기어를 골랐죠.
덕분에 버리는 행동 없이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은 행동을 몇 번 버리셨지만 자원이 상당히 많으셨습니다.
 
저는 후반에 타일 3개를 한 방에 놓으면서 가장 먼저 서부 종착지에 기차를 넣었습니다.
종착지에 도착하면 그 기차를 보관소에 놓는데, 그걸로 보너스 자원을 받습니다.
자원이 많으셨던 쿠웨이트박 님은 제가 놓은 길다란 철로를 이용해서 2번이나 기차를 넣으셨습니다. ㅠ
 
게임의 종료 시에 철도회사 3곳의 메이저리티 (총 45점)를 제가 가져왔고, 키니 님이 2곳 (총 30점)을 가져가셨습니다.
제가 중반에 금광에서 뽑은 금덩어리 3개로 총 13점, 주식 3개마다 4점을 얻는 행동 2번을 돌려서 총 16점을 얻어서 넉넉한 차이로 승리했습니다.
 

 
 
게임에 대한 인상
쿠웨이트박:
키니:
skeil:
 
 
 
 
5. 이노베이션 딜럭스 Innovation Deluxe
 
 
쿠웨이트박 님과 제가 좋아하는 이노베이션을 하기로 했습니다.
키니 님은 룰을 들으신 적이 있는데 실제로 해 보신 적이 없다고 하셔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오랜만에 3인으로 했는데요.
처음 하시는 분에게 3인플은 좀 좋지 않은 것 같았습니다.
나중에 쿠웨이트박 님이 몇 인 베스트인지 물어 보셨는데, 2인인지 3인인지 잘 몰랐거든요.
쿠웨이트박 님은 2인이 제일 좋은 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긱에서 검색해 보니 2인 베스트가 맞네요. ^^;;
 
 
게임에 대한 인상
쿠웨이트박:
키니:
skeil:
 
 
 
 
6. 이노베이션 딜럭스 Innovation Deluxe
 
 
키니 님이 댁까지 거리가 있어서 한 게임만 하고 일어나셨습니다.
남은 둘이서 2번 더 했습니다.
카드 텍스트에 익숙해지니까 2인플로 한 게임 하는 데에 30분 정도면 되네요.
 
마지막 3번째 게임에서 특별 업적을 달성하게 하는 도그마 효과가 있는 카드가 3장이나 깔아서 쓸데없는 욕심이 생겼습니다.
"석축"으로 "기념물"은 가져왔고, "번역"으로 "세계"를 가져오려다가 빌드가 엄청 늦어졌는데요.
나중에 억지로 몇 액션 쓰면서 "번역"으로 "세계"를 달성했습니다만
이미 대세가 쿠웨이트박 님에게 넘어간 뒤였습니다. ㅠㅠ
쿠웨이트박 님의 말씀이 맞는 것 같네요.
도그마 효과로 (특별) 업적을 준다는 건 그 효과에 페널티가 포함되어 있다는 거요.
다음에 할 때에는 특별 업적 욕심 안 내고 빌드를 열심히 올려야겠습니다.
 

 
 
게임에 대한 인상
쿠웨이트박:
skeil:
 
 
 
 
주말에 뵙겠습니다.
Posted by Mounted Cloud
정기모임 후기/2017년2018. 3. 16. 07:00
좋은 게임을 뽑는 상
 
 
(얼마 전에 게시판에서 게임 상에 뽑히기 위해 투표해 달라는 글을 보고 생각나서 씁니다.)
 
많이들 알고 계시겠습니다만, 보드게임계에는 양대 상이 있습니다.
하나는 SDJ (Spiel des Jahres, 올해의 게임상)이고 나머지는 DSP (Deutscher Spiele Preis, 독일 게임상)이죠.
두 상 모두 역사와 전통이 있으면서 공신력도 있습니다.
그 상에서 1위를 했거나 최종후보까지 올랐다면 '그 해에 나온 좋은 게임'임을 입증받은 셈이죠.
그러니 보드게임을 잘 모르는 사람에게도 선택에 있어 좋은 가이드라인이 되어 줍니다.
오늘은 이 두 상에 대해 써 보려고 합니다.
 
 

SDJ (Spiel des Jahres, 올해의 게임상)
 
게임 디자인 (설계)에서의 우수성을 칭송하고 독일 시장에서의 고품질 게임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1978년에 신설된 보드게임과 카드게임을 위한 상입니다. 이 상의 존재와 인기는 독일에서 출시된 게임들의 품질의 주요한 요인들 중의 하나로 여겨집니다. 올해의 게임상 후보작은 게임의 일반적인 판매는 500-3,000 카피에서 약 10,000만 카피까지 증가할 수 있고, 수상작은 보통 300,000 카피에서 500,000 카피까지 판매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 위키피디아에서 인용
 
무려 1979년부터 이어져 오는 대표적인 상입니다.
초대 수상작은 Hare and Tortoise 토끼와 거북이이고 그 다음해에는 Rummikub 루미큐브가 받았습니다.
 
제가 아는 바로는, 심사위원단이 있어서 그들이 수상작을 선정합니다.
Puerto Rico 푸에르토 리코나 나타난 2002년 당시에 많은 사람들의 예상을 뒤엎고 Villa Paletti 빌라 팔레티가 수상했는데요.
역대 수상작들을 보면 이해는 됩니다. (링크)
제가 봤을 때에 역대 수상작 중 가장 어려운 게임이 El Grande 엘 그란데나 Tikal 티칼, Torres 토레스였거든요.
대체적으로 난이도가 쉬운 가족 게임에 상을 줍니다.
 
2011년에 3개의 부문으로 나뉘게 되는데요.
이 때문에 7 Wonders가 전문가 (?) 게임 부문에서 상을 받으면서 SDJ를 받은 것도 아니고 안 받은 것도 아니게 됩니다. ㅋ
 
수상작 몇 개를 꼽자면,
The Settlers of Catan 카탄의 개척자 (1995년), El Grande 엘 그란데 (1996년), Tikal 티칼 (1999년), Carcassonne 카르카손 (2001년), Ticket to Ride 티켓 투 라이드 (2004년), Dominion 도미니언 (2009년), Dixit 딕싯 (2010년), Codenames 코드네임즈 (2016년) 등이 있습니다.
 
 

DSP (Deutscher Spiele Preis, 독일 게임상)
 
독일 잡지인 "Die Poppel-Revue 디 푀펠 리뷰"에 의해서 1990년에 시작된 보드게임상인데, 게임 상점, 잡지, 전문가, 게임 클럽에서부터 투표를 받아서 선정합니다. 수상작은 매년 10월 독일 에쎈의 Spiele 슈필 게임 박람회에서 발표됩니다. 또한 Essen Feather 에쎈 페더 (에쎈 깃털)은 같은 시상식에서 주어지는데, 잘 작성된 규칙서에 대한 상입니다. 가족용 게임에 수여되는 SDJ와 상반되게, DSP는 특별히 좋거나 혁신적인 게이머용 게임에 수여됩니다. - 위키피디아에서 인용
 
1990년부터 이어지고 있는 상입니다.
전략 게임을 좋아하는 분들은 SDJ보다 더 주목하는 상이죠.
 
이 상도 일반 대중이 아닌 전문가 집단에서 뽑습니다.
SDJ 심사위원단보다 더 큰 규모로 알고 있는데요.
보드게임 업계 사람들, 기자 등이 포함됩니다.
원래는 독일에 있는 사람들로 국한되었다가 나중에 전세계로 확장했다는 걸 들었습니다.
 
수상작들은
Modern Art 모던 아트 (1993년), The Settlers of Catan 카탄의 개척자 (1995년), El Grande 엘 그란데 (1996년), Tigris & Euphrates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 (1998년), Tikal 티칼 (1999년), Carcassonne 카르카손 (2001년), Saint Petersburg 상트 페테르부르크 (2004년), Caylus 케일러스 (2006년), Agricola 아그리콜라 (2008년), Dominion 도미니언 (2009년), 7 Wonders 7 원더스 (2011년) 등
이 있습니다. (링크)
 
 
상은 창작자들에게 동기부여를 할 수 있고, 소비자들에게는 선택을 돕습니다.
수상 과정이 공정하고 합리적이고 납득가능하다면 선순환을 가져옵니다.
SDJ나 DSP의 초기 수상작들은 지금에 와서 보면 '이런 것들이 받아도 되나?' 싶을 정도지만 당시에는 훌륭한 작품이었습니다.
그만큼 보드게임이 빠르게 발전했다는 증거이기도 하죠.
 
자, 그럼 얼마 전에 있었던 일로 돌아가서요.
'우리나라는 이러한 상들이 있는가?'라는 슬픈 질문을 하도록 하죠.
좋은 상을 만들려면 그걸 알아볼 수 있는 충분한 수의 전문가들이 있어야 합니다.
어떤 상들은 대중들에게 뽑으라고 하는데, 그런 것은 위험성이 매우 크죠.
해당 후보들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뤄지지 않으면 제비뽑기하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디에 내 놓아도 부끄럽지 않고 후대에 남기고 싶은 상이라면 최소한 댓글 알바를 동원해서 선정되는 일은 없어야 할 겁니다.
 
우리는 이런 상을 언제쯤 만들 수 있을까요?
 
 

 
 
1. 이노베이션 딜럭스 Innovation Deluxe
 
 
쿠웨이트박 님과 2인플로 했습니다.
이 게임을 구한지 한 달이 넘었는데요.
다른 게임들을 하느라 미루고, 한글화 자료가 완성되지 않아서 미루다 보니 이제서야 했습니다.
 
이노베이션인 미국 회사에서 나오는데요.
유럽의 다른 퍼블리셔에서 나온 판본도 있습니다.
규칙은 같으나 용어와 카드 효과가 조금 다르고, 외관에서 차이가 큽니다.
저는 아스마디 판으로 처음 접해서인지 이게 익숙합니다.
 
룰 설명을 드리고 시작했습니다.
이 게임의 최대 약점은 진입장벽이 높다는 것입니다.
카드마다 텍스트가 좀 있고, 심지어 카드마다 효과가 모두 다릅니다;;;
게임 특성 상 문장이 길 수밖에 없고요.
이것만 극복하면 신세계가 열립니다.
왜 이 게임이 제목이 innovation 혁신인지 납득이 되죠.
카드만으로 한 시간이 안 되는 시간 동안 문명 게임의 맛을 냈다는 게 대단합니다.
트랙 하나 없이 카드 펼치기 하나만으로 영향력의 우열을 나타내는 것도 훌륭하고요.
 
첫 게임에서는 제가 [1시대] 바퀴를 굴리면서 카드를 다수 뽑았고
[2시대] 운하 건설로 점수 더미에 있는 카드와 손에 있는 카드를 바꾸면서 점수를 순식간에 35점을 올리면서 승기를 잡았습니다.
점수가 될 때마다 일반 업적을 달성해서 업적 6장으로 승리했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이 기꺼이 한 번 더 하시겠다고 하셔서 두 번째 게임을 시작했습니다.
이번엔 쿠웨이트박 님이 초반에 드로우를 많이 하시고 [1시대] 석축을 통해 기념물 업적을 달성하셨습니다.
초반에 요구 도그마로 쿠웨이트박 님께 탈탈 털렸는데요.
쿠웨이트박 님이 업적을 빠르게 4개나 달성하셔서 크게 앞서가셨습니다.
저에게 [4시대] 해부학이 들어오자 반격에 나섰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의 점수 더미를 수술해 (?) 드렸거든요.
 
점수가 급격히 떨어진 쿠웨이트박 님은 남은 업적 2장을 달성할 수 없게 되셨고,
저는 [7시대] 진화로 점수를 빠르게 올리며 업적을 따라잡았습니다.
쿠웨이트박 님도 [6시대] 공작기계로 뒤늦게 점수를 회복하셨는데요.
제가 한 턴 차이로 6번째 업적을 달성해서 게임에서 승리했습니다. ^^
 

 
 
게임에 대한 인상
쿠웨이트박:
skeil:
 
 
 
 
2. 칼레도니아의 씨족들 Clans of Caledonia
 
 
에피아. 님도 오시고 물천사 님도 오셔서 4인 게임을 했습니다.
지난 추석 연휴 때에 배운 칼레도니아의 씨족들을 하기로 했는데요.
에피아. 님만 모르셔서 물천사 님이 설명해 주셨습니다.
 
이 게임은 최근에 나온 재미있는 게임들을 짜깁기한 느낌이 듭니다.
일단 기반은 테라 미스티카입니다. (테라~ 도니아~)
개인판을 보면 한자 토이토니카 같고. (한자~ 테라~ 도니아~)
시작 씨족을 주는 것을 보면 마르코 폴로 같고. (마르코~ 한자~ 테라~ 도니아~)
시장을 보면 글렌 모어... (글렌 오브 마르코 한자 테라도니아)
더 있는데 그만해, 이 자식아! 끄응... 여기까지만...
 
턴을 정했는데 제가 마지막이어서 캠벨을 선택했습니다!
지난 번에도 캠벨이었는데 승리했던 좋은 기억이 있어서요. ㅎ
캠벨은 가공상품 건물 건설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수입을 늘리는 것보다 지출을 줄인다고 할까요?
 
1라운드에 이상한 주문서만 남아서 저만 수출 주문을 완료하지 못 했습니다. ㅠ
다른 분들은 두 번째, 세 번째 주문서를 가지고 계셨는데 말이죠.
그 대신에 저는 가장 비싼 곡식밭부터 놓으면서 길게 봤습니다.
 

아니, 후반도 버렸다. 연장 가자!
 
곡식밭도 열렸고, 곡식과 연계되는 (캠벨이라 싸게 짓는) 술통도 열면서 어느 정도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운이 좋게도 물천사 님이 꼬박꼬박 시장에서 술통을 구입하셔서 제가 술통을 팔면서 큰 이득을 봤습니다.
물천사 님이 수출로 먹고 사는 씨족이어서 앞으로도 구입을 더 많이 하시겠다 싶어서 저는 무역상 개수를 늘렸습니다.
 
한쪽에서는 에피아. 님과 쿠웨이트박 님이 서로 얽히셨고, 다른쪽에서는 물천사 님과 제가 얽혔습니다.
마지막엔 연결된 덩어리 개수로 보너스 점수를 먹기 때문에 끊기지 않게 잘 연결해야 했는데요.
뭐, 돈으로 바르면 되죠...;;;
 
제가 4라운드부터 돈이 폭발해서 밭도 추가로 놓고 건물도 추가로 놓았습니다.
심지어 주문서도 비싼 돈을 주고 구입했고요. ^^;;
후반에는 돈이 많아 할 게 많아서 패스를 하지 않고 혼자 묵묵히 끝까지 했습니다.
그러니 주문서 개수, 연결된 덩어리 개수를 다 따라잡을 수 있었죠. 후훗
 
점수계산을 하니 용지의 위쪽 점수는 비슷한데 아래쪽이 커서 승리할 수 있었습니다. ㅎ
캠벨로 2연승. (이겼으니 그만해야지..)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에피아.:
쿠웨이트박:
skeil:
 
 
 
 
3. 미스틱 스크롤즈 Mystic ScROLLS
 
 
그 다음으로 물천사 님이 가져오신 주사위 게임을 했습니다.
물천사 님이 펀딩해서 받은 거라고 하시자 모두 화들짝 놀랐습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텀블벅이 아니었습니다. 휴 =3
 
테마는 도서관에 갇힌 마법사들 중 한 명만 탈출할 수 있는데요.
주변에 있는 주문을 익혀서 상대들 전부를 쓰러뜨리는 겁니다;;;
야찌처럼 리롤 하면서 필요한 조합을 만드는 건데요.
실시간이어서 턴이 없고 리롤도 무제한입니다. 개판이네...
 
마법사 색깔을 정해야 했는데요.
 

(응, 난 빨강.)
 
저는 화끈한 누님 캐릭터 불 마법사, 쿠웨이트박 님은 균형잡힌 캐릭터, 물천사 님은 힐러, 에피아. 님은 주사위빨 캐릭터로 정했습니다.
 
한 라운드는 중앙에 놓인 새 주문을 완성하거나 누군가가 "스톱"을 외칠 때까지 계속됩니다.
제 시작 주문의 패턴이 쉬워서 금방 외웠습니다.
주사위 5개를 굴리자마자 눈에 보이면 바로 잡고 완성했습니다.
주문에 주사위를 올리면 그만큼 추가로 주사위를 가져와서 다시 5개를 굴려 다른 주문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라운드가 끝나면 자신의 오른쪽 플레이어만 때립니다;;; 오른쪽 메타
그 때문에 제 오른쪽에 계셨던 에피아. 님이 살살 녹았습니다. (빠르게 엘리)
 
그 다음으로 벌벌 떨고 계신 물천사 님도 녹여 드리고.
쿠웨이트박 님과 듀얼이었는데요.
쿠웨이트박 님과 치열한 접전을 벌였지만 힐을 할 수 있는 쿠웨이트박 님께 아깝게 졌습니다.
"운빨X망 게임~~~~ ㅠㅠ"을 외치는 에피아. 님처럼 안 좋은 평가를 주려는 차에 물천사 님이 한 게임을 더 하자고 하셨네요.
더 안 해봐도 될 것 같아서 혼자 떨떠름해 하고 있었는데 물천사 님이 틀리게 한 부분이 있었다고 하셨습니다.
아무 때나 "스톱"을 외칠 수 있는 게 아니라 중앙에 놓인 주사위가 부족할 때에만 가능하다고요. (다른 게임이잖아;;;)
 
"스톱"을 자주 외칠 수 없게 되자 제 불법사는 더 화끈하게 때렸습니다. 끼~~얏호!!
에피아. 님이 또 빠르게 녹고...
물천사 님도 녹고...
쿠웨이트박 님도 녹았습니다.
그렇게 모두가 "운빨X망 게임!"을 외치며 녹았습니다.
 
눈길을 끌었던 카드들이 있었습니다.
 

이건 누가 봐도 닥터 스트... 읍읍읍
 

레인 오브 다... 읍읍읍 허헙, 진짜 있었어!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에피아.:
쿠웨이트박:
skeil:
 
 
 
 
4. 라 이슬라 La Isla
 
 
지난 주에 못한 알레아 퀘스트를 했습니다.
미디엄 박스 10번은 라 이슬라인데요.
이거... 펠트 게임입니다.
멸종 동물을 밀렵하는 건지 보호하는 건지 모를 테마이고요.
프로그래밍 게임입니다.
 
게임에는 다섯 가지 멸종 동물이 나옵니다.
도도, 거대 포사, 황금 두꺼비, 사르데냐 우는 토끼, 밤나방
플레이어들은 라운드마다 카드 3장을 받아서 하나는 행동을 개선하는 데에 쓰고, 또 하나는 자원을 받는 걸로 쓰고, 나머지는 트랙을 올리는 데에 씁니다.
탐험대원을 놓으며 동물 토큰 주위를 막아서 '바둑'처럼 가둬서 포획하는 방식이고요.
탐험대원을 놓을 때에 해당하는 자원 큐브 2개를 내야 합니다.
라운드가 끝날 때마다 포획한 동물 종류에 따라 점수를 먹고, 게임의 종료 시에는 포획한 동물과 트랙에서의 가치를 곱한 만큼 추가 점수를 얻죠.
그래서 어떤 동물을 잡을지 잘 선택해야 하는데요...
그딴 거 없어, 귀여운 게 짱이야!!
모두가 "햄쮜! 햄쮜!"를 외치며 귀여운 쥐를 잡으려 했습니다.
 

뭘까~~~~요?!
 
이 녀석이 이름은 '사르데냐 우는 토끼'.
사르데냐에 서식했던 동물로 기원전 7500~6900년대에 사람이 유입되면서 함께 들어온 개와 여우 때문에 멸종했다고 하네요.
 
커여워...
 
라 이슬라의 게임성은...
이것도 운빨X망 게임이야!!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에피아.:
쿠웨이트박:
skeil:
 
 
 
 
5. 한자 토이토니카 + 한자 토이토니카: 동부 확장 Hansa Teutonica + Hansa Teutonica: East Expansion
 
 
마지막으로 한토토를 했습니다.
이날은 역사적이었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이 쾨니히스부르크 테이블 전략을 안 하시고 동-서 네트워크를 성공시키고 승리!...
하시나 싶었는데 동-서 네트워크로 게임을 끝내지 못하셔서 나머지 3명이 (사실은 저 빼고 두 분이) 이를 저지.
결국 에피아. 님이 쾨니히스부르크에 제일 점수가 큰 왕알 덕분에 역전승하셨습니다.
 
저는 초반에 괜히 물천사 님하고 경쟁하느라 힘을 써서 숲을 보지 못 했습니다. ㅠ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에피아.:
쿠웨이트박:
skeil:
 
 
 
 
일요일에 뵙겠습니다.
Posted by Mounted Cloud
크고 아름다운 보드게임들을 위한,
타일에놀 B.B.빅
 
 

 
 
엘더 갓 게임 그 자체.
 
 

 
 
B.B.빅 10번째를 찍고 나서 참여율이 낮아진 느낌이 듭니다. ㅠ
한 번은 참가자가 없어서 건너뛰었고, 이번에도 거의 못 할 뻔 하다가 극적으로 되었네요.
 
정오에 물천사 님과 만났습니다.
일단 고기부터 먹었습니다. 헤헤
 
 
 
첫 게임은 르 아브르였습니다.
제 경우에 아그리콜라처럼, 뒤늦게 재미에 빠진 게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건물들의 콤보와 스노우 볼 효과 재미에 빠지니까 자주 하고 싶네요.
롱 버전의 경우에 라운드 수가 많아서 꽤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지만요.
 
이날에는 제가 빚에 허덕였고 상대적으로 빚을 일찍 청산한 물천사 님은 편하게 하셨습니다.
저는 빚은 안 갖고 열심히 건물을 구입하거나 사들였거든요.
나중에 제 건물들 사이에서 콤보가 보여서 열심히 굴렸습니다.
석탄을 가져오고 코크스로 변환하고 선적해서 내다 팔고 그러다 보니 돈이 쏟아졌습니다.
 
문제는 마지막 몇 라운드를 앞두고 음식을 마련하지 않아서 빚청산 후에 다시 빚을 내는 아찔한 상황이 만들어진 겁니다.
이것 때문에 3-4프랑 정도 손해를 받았는데요.
 
최종점수 계산에서 제가 257프랑, 물천사 님이 258프랑으로 1프랑 차이로 졌습니다. ㅠ
저는 건물에서 점수가 많았고, 물천사 님은 돈이 많았습니다.
무척 재미있었네요. ㅎ
 
아, 물천사 님이 제 르 아브르 안에 있던 특별 건물들을 다 넣고 섞으셨는데요.
에쎈 프로모는 선택되지 않았고, 르 그랑 아무 프로모만 나왔습니다. ^^;;
 

 
 
 
 
 
그 다음으로 얼마 전에 했던 버건디의 성: 카드 게임을 다시 했습니다.
그때에 룰 하나를 틀리게 했더라고요.
은화 3개를 내고 더미에서 맨 위 3장을 본 후에 그 중 1장을 골라서 그 주사위 숫자의 행동을 하거나 그 카드를 가져오는 것을 할 수 있는데요.
그 카드를 가져올 때에는 프로젝트 카드에 두어야 하는데, 저희가 사유지에 놓고 했었습니다.
그러니까 한 행동씩 절약해서 더 한 거죠. ㅋ
어쩐지 뭔 콤보가 무지막지하게 터진다 했더니... ㅎㅎ
이 규칙을 잡고 하니까 뭔가 심심한 느낌이 들더라고요.
그래도 올바른 규칙에 익숙해져야죠.
 
물천사 님과 둘이서 했더니 광속으로 끝났습니다.
카드 더미를 안 섞어도 될 줄 알았는데, 마지막 라운드 중에 한 번 섞을 일이 생겼네요.
 
물천사 님보다 점수가 높은 트리플이 많았고 색깔 7종에 대한 보너스 3점 덕분에 승리했습니다.
후딱 끝나서 사진도 못 찍었네요. ㅎ
 
 
 
 
그리고 나서 쿠웨이트박 님의 응답을 기다리며 도미니언을 했습니다.
얼마 전에 네로에 가져다 놓은 카드 세트에 변화를 주었습니다.
어드벤처스를 빼고 기본판을 추가했거든요.
 
 
첫 경기에서 왕국 카드는 아래처럼 나왔습니다.
 

 
이벤트인 Windfall 횡재가 터지냐가 관건이었습니다.
제가 시작 전에 계산하기로는 안 될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이벤트인 Dominate 정복도 안 될 것 같았습니다.
핸드에 6장을 놓고 14원을 만들려면 횡재가 먼저 되어야 하거든요.
그런데...
 
오프닝에서 물천사 님은 은화와 Monument 기념물을, 저는 Warehouse 창고와 Talisman 탈리스만을 선택했습니다.
도미니언에서 은화는 좋습니다.
그런데 그게 항상은 아니라는 것을 알려 드린 경기가 되었습니다.
제가 은화를 포기하고 창고를 선택한 것은 탈리스만은 더 많이 플레이하기 위해서였습니다.
탈리스만은 비용이 4원 이하인 비-승점 카드를 구입할 때에 1카피를 더 가져오게 합니다.
한두 사이클만 참아내면 앞서갈 수 있게 됩니다.
이 경기에서 물천사 님이 공격 카드로 시작하지 않으셔서 저는 탈리스만을 마음 놓고 쓸 수 있었죠.
 
저는 탈리스만으로 은화를 한 번 구입했고 그 다음에 Settlers 정착자들을 구입했습니다.
창고로 덱을 강제로 쉬프트하면서 돈이 적게 남을 때에 정착자들을 구입해서 어느 새 제 덱에 정착자들이 5장이나 되었습니다.
정착자들 밑엔 Bustling Village 부산한 마을이 있습니다.
이 카드로 버리는 더미에서 정착자들 1장을 손으로 가져올 수 있고, 또 정착자들로 버리는 더미에서 동화 1장을 가져올 수 있니다.
제가 가진 창고로 일부러 동화나 정착자들을 버리고 부산한 마을과 정착자들로 버린 카드들을 퍼왔습니다.
그러자 횡재를 구입해도 되는 상황이 만들어지더군요. (물천사 님, 죄송합니다.)
 
횡재로 금화 3장을 얻어오자 10원 이상이 쉽게 만들어졌습니다.
정복도 노릴 수 있는 각이 나왔습니다.
12원, 13원 이런 식으로 1, 2원 부족할 때에는 Groundskeeper 토지관리인을 구입해서 덱을 강화했고요.
나중에 결국 14원 이상 만들어져서 정복을 구입했습니다. (물천사 님, 또 죄송합니다.)
 
제 덱이 창고 때문에 받고 버리고, 부산한 마을과 정착자들로 퍼오고, Spy 첩자로 상대 덱도 건드려서 지루하실까봐
제가 이긴 걸로 하고? 물천사 님께 이 경기를 여기서 끝내는 게 어떻냐고 제안했습니다.
 
 
두 번째 경기에서 왕국 카드는 아래처럼 나왔습니다.
 

 
재미있는 구성이었습니다.
랜드마크인 Bandit Fort 노상강도 요새가 은화와 금화에 대해 주는 페널티가 꽤 세거든요.
그런데 Royal Seal 옥쇄와 Stash 비자금이 있어서 무척 다행이었습니다.
 
저는 오프닝에서 엉뚱하게 시작해 봤습니다.
3원으로 Embargo 금수조치, 4원으로 Overlord 대군주를 했던 것 같네요.
금수조치로 옥쇄나 비자금에 토큰을 올리고, 대군주를 Remodel 개조로 써서 덱을 강화하려는 셈이었습니다.
 
가끔 엉뚱한 것에 빠져서 덱을 강화하는 것을 잊곤 하는데요.
이때가 그랬습니다.
개조 놀이에 심취해서 동화를 금수조치로 바꾸느라 시간을 낭비했습니다.
그 사이에 물천사 님이 Peddler 행상을 더 가져가셨죠.
제가 처음부터 노리던 게 행상이어서 계획에 차질이 생겼습니다.
대군주나 Farming Village 농촌 때문에 행상 비용이 내려가서 구입 단계 때에 2-4원으로 행상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어쨌거나 액션 단계에서 행상의 비용은 8원이기 때문에 개조 (또는 대군주)를 써서 속주로 바꾸기에 충분합니다.
 
6점 차 이내로 졌던 것 같네요.
 
 
세 번째 경기에서 왕국 카드는 아래처럼 나왔습니다.
 

 
저렴한 카드들이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 제 눈에 확 들어온 건 Remake 재제작과 Castles 성들이었습니다.
성들 더미는 비용이 3원부터 시작해서 1원씩 계속 올라가는 서로 다른 승점 카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 장으로는 약하지만 모이면 강해지는 녀석들이죠.
달리다가 끊기면 망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그래서 상대가 눈치 못 채게, 또는 손을 못 쓰게 만들고 쓸어담아야 합니다.
 
제가 오프닝에서 재제작과 성들의 첫 번째 카드인 Humble Castle 초라한 성을 선택했습니다.
초라한 성을 선택한 이유는 둘이었습니다.
성을 달릴 수도 있다는 신호이자 물천사 님이 성을 달리시는 걸 끊겠다는 계획이었죠.
 
다른 때보다 성을 달리는 게 수월해 보이는 건 재제작 때문이었습니다.
이게 폐기한 카드보다 정확하게 1원 높은 걸 얻게 하는데요.
이 왕국 카드 세트에는 저렴한 비용의 카드가 많아서 재제작으로 성 더미의 앞 카드들을 가져오는 데에 무리가 없습니다.
제가 재제작을 2장 돌리면서 동화는 폐기하고 사유지는 Farmer's Market 농부 시장으로 바꾸었습니다.
농부 시장은 모이면 매우 강력합니다.
더미에 승점 토큰을 올리면서 돈을 추가해 주거나, 토큰이 4개 이상 놓였을 때에는 돈 대신에 그 승점 토큰을 얻습니다.
그리고 추가 구입도 좋습니다. ^^
 
중반에 재제작으로 3원짜리 카드를 Crumbling Castle 붕괴되는 성으로, 4원짜리 Young Witch 젊은 마녀를 Small Castle 작은 성으로 바꾸면서 성 달리기를 시작했습니다.
미처 준비가 안 되어 있던 물천사 님은 이벤트인 Salt the Earth 땅에 소금뿌리기로 성 더미의 카드들을 폐기시키셨지만
제가 농부 시장과 얇은 덱에서 높은 확률로 붙는 Encampment 야영지-Plunder 약탈품 조합으로 돈이 넘쳐서 남은 성 카드들을 구입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농부 시장과 약탈품으로 벌어들인 승점 토큰 수가 꽤 되어서 물천사 님이 패배선언을 하시면서 게임이 끝났습니다.
 
 
 
 
크툴루 워즈 Cthulhu Wars
 
 
그리고 이날의 메인 게임인 크툴루 워즈를 했습니다.
원래 이날은 던전 커맨드를 하기로 되어 있었습니다.
참가자가 매우 적었지만 사전에 조율이 되어 있었거든요.
그런데 425 님이 다른 약속 때문에 게임을 가져오지 않으셔서 물천사 님이 가져오신 크툴루 워즈로 종목을 바꿀 수 밖에 없었습니다.
다행히도 일 끝나고 오신 쿠웨이트박 님이 합류하시고, 다른 테이블에서 게임을 하시던 425 님도 오시면서 4인 게임이 되었습니다.
 
저는 크툴루 신화 세계관을 잘 모릅니다. ㅠ
그래도 다른 분들이 관련 게임을 하자고 하시면 재미있게 합니다. ㅎ
크툴루 워즈는 피규어가 어마무시했습니다.
생김해도 좀 징그러웠고 크기도 컸습니다.
그래서 게임 박스도 상당히 컸는데요.
저희 B.B.빅 소모임과 잘 어울리는 게임이었습니다. ㅎㅎㅎ 크고 아름다운...
 
게임은 서로 다른 고대 신을 섬기는 집단이 되어서 지구를 파멸하는 게 목적이었습니다.
맵을 보니 이미 인류는 멸망하고 있더라고요.
 
종족을 고르기에 앞서 물천사 님께 설명을 들었습니다.
2인으로 할 줄 알고 도미니언 끝나고 설명을 먼저 들어서 나머지 두 분이 설명을 듣는 동안에 딴짓을...
 

Love 사랑 + Craft 기술! 선생님의 주례사가 있겠습니다. ? ♡ ? ♥
 
 
라운드 종료 때마다 사진을 찍었습니다.
 
각 팩션은 시작 지점에 관문 하나를 가진 채로 시작했습니다.
물천사 님 (파란색)은 아시아에, 쿠웨이트박 님 (노란색)은 유럽에, 425 님은 (초록색)은 남태평양에, 저 (빨간색)은 아프리카에요.
첫 라운드에 다른 분들은 관문을 여실 때에 저는 쿠웨이트박 님을 둘러쌌습니다.
 

 
 
관문은 중요했습니다.
라운드가 끝날 때에 광신도마다 권능 1점, 지배 중인 관문마다 권능 2점을 줍니다.
이 권능은 블러드 레이지의 레이지처럼 일종의 액션 포인트여서 많을수록 더 많은 턴을 가질 수 있거든요.
저와 쿠웨이트박 님은 첫 라운드에 관문을 열지 않아서 서서히 밀린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물천사 님은 벌써 관문 3개.
 

 
 
3라운드에 425 님은 저를 향해 확장하셨고, 물천사 님은 확장하는 425 님은 견제하려 태평양을 건너셨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은 본진에 갇힌 채 수를 늘리셨습니다.
저는 두 번째 관문을 늘렸고요. 휴 =3
 

 
 
4라운드에 425 님이 가장 먼저 큰 형님 (?)을 뽑으셨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은 열심히 표식을 찍으러 다니셨습니다.
 

 
 
관문 수가 많은 물천사 님과 425 님이 점수가 쭉쭉 올라갔습니다.
앞서가는 두 분이 대치하다가 결국 전투를 벌이셨습니다.
크툴루의 고유 능력으로 잠수한 후에 다른 지역에서 나타나서 물천사 님을 당황시키셨네요.
물천사 님은 불가사리처럼 생긴 큰 형님을 뽑으셨습니다.
저도 큰 형님으로 뒤를 받치면서 북아메리카까지 진출했습니다.
 

 
 
주문서를 뒤늦게 따라가면서 생산 체제가 갖춰지자 제 팩션도 힘을 받게 되었습니다.
다수의 광신도와 관문 덕분에 권능 수가 많이 올라갔습니다.
물천사 님과 425 님이 서로 싸우시느라 틈이 많이 생겼는데 제가 잘 파고든 것도 있습니다.
물천사 님이 425 님의 남아메리카를 빼앗으셨고, 425 님은 물천사 님의 태평양을 가져가셨습니다.
쿠웨이트박 님도 대두 큰 형님을 뽑으셨습니다.
 

 
 
마지막 7라운드였습니다.
제 힘이 본격적으로 터져 나오는 시기였는데요.
물천사 님이 권능으로 추가 점수를 얻으시면서 종료를 격발시키셨습니다.
저는 6번째 주문서를 완료하지 못해서 승리할 수 없었습니다. ㅠㅠ
 

 
 
제가 한 팩션이 Black Goat 검은 염소였는데요.
마지막까지 완료하지 못한 주문서가 너무 어려웠습니다.
 

사실 상, 흑염소... 왠지 몸에 좋을 것 같다;;;
 
 
크툴루 워즈는 세계관을 모르는 제가 해도 꽤 재미있었습니다.
기본판에는 5인까지만 가능한데요.
팩션이 더 있으면 좋겠습니다.
팩션 확장이 있는 거 압니다. ㅋㅋ
 
 
 
 
 
마지막으로 425 님이 가져오신 Cytosis: A Cell Biology Game 사이토시스: 세포 생물학 게임을 했습니다.
그림이 귀여운 일꾼 놓기 게임이었는데요.
난이도는 비티컬처 정도였습니다.
 
룰북 뒷면에 있는 제작진들을 보니 왠 닥터들이 그리 많으신지...;;;
 
찍은 사진이 제대로 저장되지 않아서 사이토시스는 다음에 더 자세히 쓰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타일에놀 B.B.빅 세션 #12에서 또 뵙겠습니다.

2주 후에 뵙겠습니다~
Posted by Mounted Cloud
정기모임 후기/2017년2018. 3. 14. 07:00
추석 특선
 
 
이번 추석 때에 TV에서 쟁쟁한 영화들을 많이 방영했습니다.
블랙리스트 작성자들이 감옥에 가 있어서 "변호인"을 종편에서나마 볼 수 있었습니다.
EBS에서는 "반지의 제왕"을, M○○에서는 "라라 랜드"를 틀어줬습니다.
세상이 많이 바뀌었네요. 시간도 많이 흘렀고요. 성룡 아저씨는 이제 빠이~
 
저희는 추석 연휴 동안에 몇 번의 모임을 가졌습니다.
그 중에서 저는 10월 3일에 했던 모임이 가장 기억에 남았습니다.
엘 그란데 + 확장을 비롯해서 메디치, 위저드: 20주년 판, 칼레도니아의 씨족들, 캡틴 소나, 에쓰노스, 티그리스 & 유프라테스, 엘드리치 호러를 했습니다.
이날은 처음으로 네로에서 새벽 늦게까지 모임을 했습니다. (허락해 주신 네로 사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밤샘 모임이었던 것보다 제 기억에 남은 것은 엘 그란데였습니다.
아시는 분도 계실 테지만, 엘 그란데에서 인터랙션이 직접적이기 때문에 "균형있게" 진행하기 쉽지 않습니다.
플레이어들 중 어느 하나라도 복수심에 불타면 두 사람끼리만 싸우게 되어서 나머지 플레이어들이 소위 좀 "붕 뜨게" 될 수 있거든요. (킹 메이킹이거나 트롤링이거나)
'내가 맞은 건 어쩔 수 없지.'라며 쿨 하게 넘기며 누구를 공격해야 내가 승리할 가능성이 높아지는지를 끊임없이 계산해야 합니다.
이걸 놓치면 누군가가 적은 비용으로 큰 이득을 벌어들이게 됩니다.
쉽게 말하면 날로 먹는 거죠.
 
이날 저희가 했던 엘 그란데 + 확장은 역대급 명경기였습니다.
크게 앞서간 플레이어가 없었고 순위가 엎치락뒤치락 했습니다.
84점이 두 명으로 공동 1위, 81점이 3등, 77점이 4등, 76점이 5등.
1위와 5위의 격차가 8점밖에 안 되는 초박빙 싸움이었습니다.
 

 
제가 타이레놀 모임에서 같은 게임을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면서 멤버들 전체적으로 실력을 높였습니다, 의도적으로요.
설명을 안 해도 되는 게임이 생기게 만드는 목적도 있었지만 더 큰 목적은 좋은 게임에서 실력자들이 겨루는 쫄깃한 상황을 만드는 거였습니다.
그렇게 바라던 것이 이번 추석 연휴 동안에 만들어진 겁니다!
비록 승리하지 못 했지만 그 엘 그란데 한 게임은 정말 재미있었습니다.
두고 두고 기억에 남을, 어느 추석 특선 영화보다도 훌륭한 경기였죠.
 
이런 명경기가 자주 나오길 바라면서, 함께 플레이한 모든 멤버 분들께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
 
 

 
 
1. 칼레도니아의 씨족들 Clans of Caledonia
 
 
제가 도착할 때까지 쿠웨이트박 님과 Ngel 님 두 분이서 게임을 하고 계셨습니다.
추석 연휴 동안에 칼레도니아의 씨족들을 해 보셨던 쿠웨이트박 님이 설명하셨다고 하네요.
 
 
게임에 대한 인상
쿠웨이트박:
Ngel:
 
 
 
 
2. 한자 토이토니카 + 한자 토이토니카: 동부 확장 Hansa Teutonica + Hansa Teutonica: East Expansion
 
 
제가 도착했을 때에 마지막 라운드를 하고 계셔서 저는 점심 식사를 사 왔습니다.
내려가려고 엘리베이터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마침 에피아. 님이 내리셨네요.
 
엄마 때찌에서 버거 세트를 사온 후에 4명이서 한자 토이토니카 동부 확장을 했습니다.
skeil - 쿠웨이트박 - Ngel - 에피아. 순으로 턴을 가졌습니다.
첫 라운드는 역시 가장 중요한 기술 2가지가 달려 있는 Waren 바렌 주위에 두었습니다.
저와 쿠웨이트박 님이 가장 빨리 3액션을 찍었습니다.
바렌 주위에서 대치하느라 서로 기술을 빠르게 올리지 못 했습니다.
 
그 이후에 책 (재배치) 기술이 있는 Breslau 브레슬라우 주위에 몰렸습니다.
나중에 저도 이쪽 주위에 마커들을 놓고 무역로를 점유했는데요.
기술을 올리는 것보다 영업소를 먼저 두었습니다.
그 사이에 에피아. 님은 특권 (색깔) 기술을 쫙쫙 올리셨고요.
 
게임은 장기전이 될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래서 중반부터 동-서 네트워크를 할 계획을 실행했습니다.
보너스 토큰을 먹는 척 하면서 동쪽에서부터 영업소를 놓기 시작했습니다.
해상 무역로를 점유하려면 디스크가 적어도 2개 필요하기 때문에 책 기술도 하나 개발했습니다.
 
제 밑그림이 드러나자 나머지 세 분이 합심하여 견제하셨습니다.
해상 무역로를 에피아. 님과 Ngel 님이 막으면서 먼저 영업소를 놓으셨습니다.
저도 서둘러서 북쪽 무역로를 점유하면서 뒤따라서 영업소를 놓았습니다.
문제는 동-서 네트워크의 시작 도시인 Lübeck 뤼베크에 영업소를 놓지 못한 것이었습니다.
평소와 다르게 쾨니히스부르크 테이블 전략을 전혀 하지 않으신 쿠웨이트박 님이 드디어 움직이셨습니다.
뤼베크와 Wismar 비스마르 사이의 무역로를 막으시더니 뤼베크에 두 번째 (주황색) 영업소까지 놓으신 겁니다.
제가 특권을 주황색까지만 개발해서 특권을 더 개발해야 했습니다.
 
저는 침착하게 제 자원을 살펴봤습니다.
이 맵에는 색깔을 개발할 수 있는 곳이 두 곳 있었고, 마커 3개 추방 보너스 토큰과 에피아. 님 덕분에 얻은 기술 +1 보너스 토큰도 있었습니다.
맵 상에 제 마커가 6개가 있어서 제 4액션으로 딱 맞게 할 수 있었습니다!
제 턴이 돌아오자 마커 3개 추방으로 제가 필요한 무역로에 있던 상대 마커들을 밀어냈습니다.
그리고 마커 3개를 재배치하면서 Magdeburg 마그데부르크 - Halle 할레 무역로를 점유해서 분홍색 특권을 개발하고, 기술 +1 토큰을 써서 검은색 특권까지 개발했습니다.
바로 이어서 나머지 마커 3개를 재배치하면서 뤼베크 - 비스마르 무역로를 점유하면서 동-서 네트워크를 완성했습니다.
이로써 제 점수가 20점에 도달해서 게임이 끝났습니다.
 
도시 메이저리티 점수와 네트워크 점수가 많아서 여유롭게 승리했네요. ^^
 

 
 
게임에 대한 인상
에피아.:
쿠웨이트박:
Ngel:
skeil:
 
 
 
 
3. 도라스레 Dorasure
 
 
물천사 님까지 5명이 되자 에피아. 님이 추석 연휴 때에도 들고 오셨던 협력 게임을 해 드리기로 (?) 했습니다.
제목만 들어보고 한국 게임인 줄 알았습니다.
"-스럽다"와 비슷한 "-스레"라는 것으로 알아들었거든요.
혹시나 해서 에피아. 님께 게임 제목의 뜻을 여쭤 봤는데 말이죠.
"도라스레는 일본어로 도라곤 슬레-아 (드래곤 슬레이어)라는 뜻입니다. ㅋㅋ"
그렇습니다. 이 게임은 전형적인 일본 RPG였습니다. 아청아청 한 그림하며...;;;
 
도라스레는 순 주사위빨 게임이었습니다.
이동력만큼 주사위를 굴려서 그 결과에 따라 이동이 정해집니다.
숫자가 높게 나온 결과는 어려운 지형에 들어갈 때에 쓰고, 낮게 나온 것은 쉬운 지형에만 쓸 수 있었습니다.
몇 개의 헥스에 퀘스트가 있었는데요.
퀘스트마다 필요한 스탯이 있었습니다.
마찬가지로 그 스탯만큼 주사위를 굴려서 '5'나 '6'이 나오면 성공인 것이었죠.
 
재미있는 것은 '1'과 '6'은 각각 실패와 성공으로 카운트하고 다시-굴림을 해야 한다는 겁니다. 무조건요!
'1'은 대실패인데 다시 굴려서 성공이 나오면 나쁘지 않은 겁니다.
하지만 다시 굴림이 결과가 또 '1'이라면... 주륵... ㅠ
'6'도 대성공이지만 다시 굴립니다. ㅠㅠ
 
영웅들이 퀘스트를 전부 끝내면 드래곤이 깨어납니다.
그러나 이동할 때에 '6'을 굴릴 때마다 드래곤이 분노 게이지가 올라가며, 특정 칸에 도달할 때마다 브레스를 쏩니다;;;
그리고 드래곤 분노 게이지가 끝에 도달해도 드래곤이 깨어납니다.
 
저희는 드래곤 분노 게이지가 거의 다 찰 때 즈음에 퀘스트를 모두 클리어했습니다.
그리고 드래곤과의 싸움이 벌어졌죠.
제가 가장 잘 싸우는 캐릭터였지만 드래곤에게 한 번 맞고 끔살당했습니다. ㅠ
다른 분들도 한두 번 싸우고 모두 저승길로.
 
에피아. 님이 이 게임 시작할 때에 팬데믹만큼 쉽다고 하셨는데, 나중에
드래곤과 싸우는 것을 뺀 나머지가 팬데믹만큼 쉽다며 말을 바꾸셨습니다. ㅋ
 
게임성이 좋지는 않지만 묘하게 도전의식을 불러 일으키네요. ㅎ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에피아.:
쿠웨이트박:
Ngel:
skeil:
 
 
 
 
4. 모던 아트 Modern Art
 
 
5명이어서 제가 가져간 경매 게임을 하기로 했습니다.
원래대로라면 (플레이 횟수 10번을 채워야 해서) 메디치를 할 차례였는데요.
지난 추석 연휴 때에 메디치를 2번 해 주셔서 (?) 10번을 채우고 메디치를 보내 버렸습니다.
그래서 모던 아트의 차례가 조금 더 일찍 돌아온 겁니다. ㅋ
 
그런데 놀랍게도 다른 분들은 모던 아트의 규칙을 모르셨습니다.
물천사 님이 우리 모임에서 해 보시긴 했는데 너무 오래 전이었죠.
옛날 게이머인 Ngel 님은 10여 년의 시간 동안 마작 디멘션 (?)에 계셨기 때문에 모던 아트를 모르셨다고...
 
룰을 설명 드리고 하려고 했는데요.
제 게임이 겉봉 뜯고 카드 프로텍터만 씌우고 나머지는 그대로였습니다.
가림판을 프레임에서 뜯어내야 하는데 옛날 거라 그런지 잘 안 떨어지더라고요.
평소라면 북 북 뜯으셨을 텐데요.
"절판된거라 10만 원밖에 안 해요."
란 말 때문인지 손들을 덜덜 떠시더라고요. ^^;;
 
그리고 플라스틱 칩에 스티커를 붙여야 했는데요.
제가 스티커 붙이는 걸 싫어합니다.
나중에 떨어지기도 하고 끈적거려서요.
어떻게든지 스티커를 안 붙이고 하려고 종이에 따로 적었습니다.
흰색 칩은 1원, ... 이런 식으로요.
 
게임은 경매니까 딱히 할 얘기는 없는데요.
물천사 님이 입을 터는 (?) 걸 상당히 잘 하신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정수기나 휴대폰 파시면 왠지 사 드릴 것 같은... ㅠ
 
감을 늦게 잡으신 쿠웨이트박 님은 그림을 너무 안 사셔서 돈이 적으셨던 것 같고요.
물천사 님과 Ngel 님이 돈이 많으셨던 것 같은데 누가 승리하셨는지 기억이 잘...;;
 
메디치를 끝냈으니 모던 아트는 앞으로 자주 가져갈게요. ㅎ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에피아.:
쿠웨이트박:
Ngel:
skeil:
 
 
 
 
5. 위저드: 20주년 판 Wizard: Jubiläumsedition
 
 
지난 추석 연휴 때에 위저드: 20주년 판을 오랜 만에 꺼내 들었는데 반응이 좋았습니다.
예전에는 자주 했는데 싫어하는 분이 있을 때에는 못 꺼내겠더라고요. ㅠ
쿠웨이트박 님은 스컬 킹부터 배우셔서 차이점만 설명해 드리고 위저드 기본판 카드만 써서 했었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이 예상 외로 잘 하셔서 이날은 추가 카드 6장도 넣고 했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이 시작 플레이어로서 예측 1개로 시작했는데요.
바로 다음인 물천사 님도 당당하게 1개를 부르신 겁니다.
덕분에 마지막이었던 제가 똥패로 '0'을 부를 수 있었습니다. 휴 =3
나중에 카드를 보니 쿠웨이트박 님과 물천사 님 모두 위저드 카드! ㅋㅋ
 
최종 점수계산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라운드 쿠웨이트박 물천사 Ngel 에피아 스케일
1 1/1 +30 1/0 -10 0/0 +20 0/0 +20 0/0 +20
2 1/0 -10 0/0 +20 0/0 +20 1/1 +30 1/1 +30
3 2/2 +40 1/0 -10 0/0 +20 1/1 +30 0/0 +20
4 1/1 +30 1/1 +30 1/1 +30 1/0 -10 1/1 +30
5 구름 0/0 +20 1+1/3 -10 0/0 +20 1/0 -10 2/2 +40
6 구름 0/0 +20 1/1 +30 1/1 +30 1+1/4 -20 0/0 +20
7 구름 0/0 +20 2/2 +40 1/1 +30 2+1/3 +50 1/1 +30
8 1/1 +30 1/1 +30 3/4 -10 2/2 +40 0/0 +20
9 폭탄 1/1 +30 1/1 +30 4/4 +60 1/2 -10 0/0 +20
10 구름 1/1 +30 1/1 +30 2/0 -20 5+1/6 +80 2/2 +40
11 구름 2/2 +40 3-1/2 +40 2/3 -10 3/2 -10 2/2 +40
12 구름 3+1/3 -10 2/1 -10 5/4 -10 2/2 +40 3/2 -10
총점 270 210 180 230 300
 
저는 마지막 라운드만 틀렸고 다 맞췄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이 소리없이 강하시네요. ^^;;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에피아.:
쿠웨이트박:
Ngel:
skeil:
 
 
 
 
[ ! ] 아래 글에는 언덕 위 집에서의 배반: 망부대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내용을 알고 싶지 않은 분은 스크롤을 휘리릭~ 내려주세요.
 
 
 
 
6. 언덕 위 집에서의 배반 + 언덕 위 집에서의 배반: 망부대 Betrayal at House on the Hill + Betrayal at House on the Hill: Widow's Walk
 
 
5명이어서 언집배 확장을 했습니다.
이번에는 큰 탈 없이 무난하게 진행되었는데요.
 
배반자는 지력이 가장 높은 에피아. 님?!
을 제외한 나머지 전부!!
이번에는 폴터가이스트들에 초대를 받은 불쌍한 에피아. 님의 탈출 시나리오였습니다.
 
턴은 배반자들의 다음 영웅인 에피아. 님부터 시작했는데요.
에피아. 님이 갑자기 게임이 끝났다고 선언하시는 겁니다.
제가 혹시나 해서 (번역자로서) 생존의 비밀들 소책자를 읽어 봤는데 정말이었습니다.
이상하다 싶어서 배반자의 대책 소책자를 읽어 보니 저희가 영웅을 옮기는 것을 아직 하지 않아서 되돌리고 시작했습니다. ㅋ
그렇다 하더라도 에피아. 님의 탈출을 막기 어려웠습니다.
집이 전체적으로 직선이고 이동 경로가 많고, 에피아. 님의 속력이 '6'이나 되었습니다.
집의 아무 곳에서나 정문까지 6칸이면 도달할 수 있었습니다.
폴터가이스트들은 망했습니다. ㅠ
 
저희한테는 딱 한 번의 라운드가 남았습니다.
이 한 번의 라운드 동안에 에피아. 님을 공격해서 쓰러뜨리면 되는 것이었는데요.
문제는 저희가 폴터가이스트여서 물품 카드를 사용할 수 없고, 방 안에 있는 물건을 던져서 에피아. 님에게 '정신적' 피해를 줘야 했는데요.
에피아. 님이 멈춘 현관 타일에 그려진 물건이 거의 없었습니다. ㅠㅠ
저는 없는 창의력을 동원해서 물건을 던졌습니다.
그것은 '거미줄'... ㅠㅠ
 
저와 에피아. 님은 단어 게임을 벌여서 에피아. 님이 저에게 자음/모음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제가 몇 개가 들어간 단어인지 답하는 것이었습니다.
에피아. 님은 금방 알아채시고 큰 피해를 받지 않고 버텨내셨습니다.
다른 분들의 단어 게임도 잘 넘기셔서 에피아. 님이 집에서 탈출하고 게임이 끝났습니다.
방 배치와 에피아. 님 스탯의 상성 때문에 재미없는 시나리오가 됐네요. ㅠㅠ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에피아.:
쿠웨이트박:
Ngel:
skeil:
 
 
 
 
 
 
 
 
 
 
 
 
 
 
 
 
 
 
 
7. 7 원더스 + 7 원더스: 지도자들 + 7 원더스: 도시들 + 7 원더스: 바벨 + 7 원더스: 원더 팩 7 Wonders + 7 Wonders: Leaders + 7 Wonders: Cities + 7 Wonders: Babel + 7 Wonders: Wonder Pack
 
 
 
시간이 짧게 남아서 저희 모두가 좋아하는 7 원더스를 했습니다.
제가 깜빡하고 프리네 프로모를 집에 놓고 왔네요. ㅠ
 
이날에는 프로모 지도자 카드들이 꽤 많이 돌았습니다.
저는 니므롯을 잡고 나머지를 넘겼는데, 스티비와 윌도 누군가가 잡아서 플레이했네요.
 
저는 바벨 타일 드래프트 할 때에 패배 토큰 2개 주는 걸 잡고 듀얼 자원 생산 건물을 비활성하는 걸 넘겼습니다.
그러고 시대 동안에 듀얼 생산 건물만 잡은 실수를 했습니다.
3시대에 에피아. 님이 그 바벨 타일을 놓으시면서 제 생산이 막혀 버렸습니다.
제 불가사의가 알렉산드리아였고 상업 건물 덕분에 추가 자원이 있어서 플레이는 가능했는데요.
이웃한 쿠웨이트박 님이나 에피아. 님께 자원을 사려면 돈이 좀 많이 필요했습니다.
그 타일이 덮일 때까지 꽤 좋은 카드들을 넘길 수밖에 없었습니다. ㅠㅠ
 
제 생산이 막히면서 이웃인 에피아. 님에게도 (제 것을 구입하지 못하는) 피해가 있었으나 나중에 점수계산해 보니 에피아. 님이 1등...;;;
 

 
 
게임에 대한 인상
물천사:
에피아.:
쿠웨이트박:
Ngel:
skeil:
 
 
 
 
주말에 뵙겠습니다.
Posted by Mounted Cloud
정기모임 후기/2017년2018. 3. 13. 07:00
인지부조화
 
 
예전에 학교 다닐 때에 마케팅 수업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근데 저는 공대생;;;)
인문사회과학은 인간 그 자체를 연구하는 학문이어서 재미난 내용들이 많습니다.
마케팅은 쉽게 말해서 '어떻게 하면 이걸 저 사람한테 팔아먹을 수 있을까?'에 대한 겁니다.
사람이 가지는 심리적 약점이나 결함을 알아야 해서 심리학도 일부 배우게 되죠.
 
심리학 전공자가 아니어서 좀 헷갈리긴 하는데요;;;
'인지부조화'라는 게 있습니다.
사람은 자신의 생각이나 믿음대로 행동하는 걸 선호합니다.
그렇지 않은 상황에 닥치면 심리적으로 불안/불편해 합니다.
그 상태가 인지부조화라고 했던 것 같네요.
인지부조화를 해결하려면 행동을 바로잡거나 또는 자신의 생각이나 신념 등을 행동에 맞게 바꾸어야 합니다.
이와 관련해서 가장 많이 나오는 예가 '여우와 신포도', '종말론자' 등이죠.
여우는 포도를 따려는 행동을 그만두면서 인지부조화를 해결하려고 '포도가 실 것이다'라고 태도를 바꾸었습니다.
 
제가 갑자기 인지부조화를 꺼낸 건 이게 보드게임 쪽에서도 일어나는 현상일 것 같아서인데요.
뭐, 이런 거죠.
열심히 하던 게임에서 지면 '그 게임은 나쁜 게임이다'라고 하는...;;;
 
저희 모임 후기에는 저만의 관점에서 작성되고 있어서 중립적이거나 객관적일 수 없습니다.
제가 게임을 하면서 생각했던 것, 느꼈던 것 위주고요.
제가 인지부조화의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해결책 중 하나가 후기를 며칠 지나서 쓰는 것입니다.
모임에서 했던 게임들의 여운이 남아 있다면
잘 풀린 게임은 더 좋게, 반대로 안 풀린 게임은 더 나쁘게 묘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3-4일 정도 지나서 마음이 진정된 후에 키보드를 두드리는 편입니다.
 
그런데 운명의 장난인지 한 주 전에는 게임들이 엄청 재미있었는데, 이날에는 완전히... 어휴...
 

 
 

 
 
1. 7 원더스 대결 + 7 원더스 대결: 만신전 7 Wonders Duel + 7 Wonders Duel: Pantheon
 
 
425 님과 제가 먼저 모였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이 오시기 전까지 2인 게임을 해야 했습니다.
425 님이 가져오신 7 원더스 대결을 확장까지 넣고 플레이했습니다.
 
초반부터 자원 생산 건물을 많이 내 드렸습니다.
대신에 저는 상업 건물을 택했죠.
뒤집어진 카드를 제가 공개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해서 신화 토큰을 무려 4개나 획득했습니다.
생산 건물을 빼앗는 바알을 가깝게, 상대 과학 기호를 복사하는 니시바도 가깝게 놓았습니다.
가장 마지막에 그리스 신화 토큰이 나왔는데요.
카드를 찍어서 날리는 제우스를 일부러 425 님에 가깝게 두었습니다.
그랬더니 남은 슬롯이 거의 가운데여서 관문이 제 사정권에도 들어왔습니다.
 
2시대에서 425 님이 군사 건물로 밀고 들어오셨습니다.
돈이 털리는 고통이 있었지만 꿋꿋하게 카드를 버리고 4원을 받는 행동을 했습니다.
1시대와 2시대 모두 과학 건물을 잘 챙겨서 과학 승리할 수 있는 각이 만들어졌습니다.
425 님의 군사 압박이 심해서 중복 과학 기호를 모았을 때에 '전략' 진보 토큰을 가져왔습니다.
이 토큰은 군사 건물을 건설하면 한 칸 더 미는 것이죠.
이 효과 덕분에 산소호흡기를 낀 상황이 되었습니다. 하? 하?
 
3시대에서 남은 과학 기호 2개 중 하나를 모았습니다.
문제는 돈이 거의 안 남았다는 거였는데요.
마지막 남은 과학 건물이 아이콘으로 연계되는 거여서 공짜로 짓고 승리할 수 있었습니다!
425 님은 제가 돈이 없어서 못 지을 걸로 예상하셨던 것 같습니다. ^^;;
 

 
 
게임에 대한 인상
425:
skeil:
 
 
 
 
2. 빌리지 Village
 
 
쿠웨이트박 님이 오셔서 빌리지를 했습니다.
얼마 전에 425 님이 가져 오셔서 했는데 틀리게 한 부분이 있었다고 하시더군요. (제가 이겼었는데...;;;)
검은색 영향력 큐브 (질병 큐브)를 다 넣고 하는 거였는데 2개를 빼고 해서 원래보다 게임이 더 걸렸습니다.
 
이번에도 425 님은 여행과 교회에 초점을 맞추시고 저는 도구와 의회 쪽을 했습니다.
저는 도구 만드는 곳에 문서와 쟁기, 소를 주로 구입했습니다.
문서는 의회에 진출할 때에 필요해서요.
이상하게 문서 내면서 의회에 사람 놓을 때에 무의식적으로 흥얼거리게 됩니다.
 

공무원 시험 합격, 에듀X!! 그만해, 이 자식들아!!
 
중반 즈음 되니까 잘 돌아갔습니다.
쟁기와 소로 곡식 폭풍 수확, 시장에서 물건 판매, 다시 물건 생산...
 
질병 큐브가 올바르게 다 사용되니 종료 시점이 더 빨라졌습니다.
마지막 라운드에서 425 님이 한 턴 더 하시면 점수가 터질 분위기였는데,
쿠웨이트박 님이 마지막으로 남은 영향력 큐브를 가져가시면서 게임을 끝내셨습니다.
점수계산하니 425 님에게 1점 앞서서 승리했네요. ^^
여행을 주력으로 하시는 두 분을 방해하기 위해서 후반에 여행 칸에 있던 큐브 하나 끊어 먹은 게 잘 먹혔던 것 같네요.
 

 
 
게임에 대한 인상
425:
쿠웨이트박:
skeil:
 
 
 
 
3. 한자 토이토니카 + 한자 토이토니카: 동부 확장 Hansa Teutonica + Hansa Teutonica: East Expansion
 
 
거의 한 달 반만에 한토토 확장을 다시 했습니다.
저는 무척 좋아하는 게임인데, 안 좋아하는 분도 있어서...;;;
동부 확장은 기본판 맵에 비해 액션 기술의 비중이 낮아져서 밸런스가 잘 맞는 느낌을 줍니다.
액션과 돈 자루 기술이 모여 있는 Waren 바렌이 초반에 중요한데요.
이날에는 시작 플레이어인 425 님이 서로 죽자 플레이 (?)를 하셔서 초반에 무척 힘들었습니다. ㅠ
시작 플레이어가 두 번째 턴에 세 번째 플레이어를 밀어내고 무역로를 점유하면서 액션 기술을 올리면 1액션이 남게 되죠.
그렇게 하실 줄 알았지만 저를 밀어내지 않고 저와 서로 물고 물리게 놓으셔서 방해를 받지 않은 쿠웨이트박 님이 반사이익을 보셨습니다.
가장 먼저 3액션을 찍으신 쿠웨이트박 님은 남부로 내려가서 특권 (색깔 개방) 기술을 편하게 마구 올리셨습니다.
나중에 저만 2액션 상태였는데요.
두 분을 따라가기 위해서 마커 3개 추방하는 보너스 토큰을 획득해서 바렌 주위를 청소했습니다.
저도 3액션을 만든 후에는 쿠웨이트박 님의 큰 그림을 방해할 계획을 실행했습니다.
그러면서 들키지 않게 끔 동-서 네트워크 연결을 하고 있었습니다.
보너스 토큰들을 제가 영업소를 놓은 도시 주위에 놓으면서 4개를 빠르게 획득했는데요.
그 영업소들 덕분에 제 점수가 빠르게 올랐습니다.
 
점수가 10점에 가까워지자 다른 분들을 방해하는 척 하면서 열쇠 기술 하나를 개발했고요.
13점이 되자마자 동-서 네트워크를 완성하면서 게임을 끝내 버렸습니다.
 
쿠웨이트박 님이 하시던 Königsberg 쾨니히스부르크 테이블 전략 (기본판의 쾰른 테이블 전략)은 이미 간파하고 있었기 때문에
쿠웨이트박 님이 필요한 무역로에 제가 마커를 배치해 두었고, 영업소도 미리 놔서 제 점수가 꾸준하게 올랐습니다.
 
한토토 경험이 적은 425 님이 방어에만 집중하셔서 실제 이득을 많이 가져가지 못 하셨습니다.
바렌 주위의 무역로에서 저와 물렸는데요.
저는 마커 1개, 425 님은 마커 2개로 서로 물고 있을 때에 425 님보다 제가 더 이득을 봅니다.
마커 1개로 마커 2개를 잡고 있으니까요.
물론 가장 큰 이득은 그 싸움에 끼지 않은 쿠웨이트박 님이고요.
상대를 물고만 있으면서 기술 개발을 하지 않으면 마커 개수가 부족해서 나중에 할 수 있는 액션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게 심해지면 액션을 덜 하고 턴을 넘기거나 아예 아무 것도 하지 않고 턴을 넘기는 경우도 발생하죠.
 
한토토는 전략 게임이 아닌 전술 게임이기 때문에 그때 그때 쉽고 빠른 걸 챙겨 먹어야 합니다.
플레이어들이 서로 견제하다 보면 어딘가는 놓치는 부분이 생겨서 누군가가 날로 기술을 올릴 수 있는 곳이 만들어집니다.
 
네트워크와 도시 메이저리티 때문에 점수차는 꽤 컸습니다.
 

 
 
게임에 대한 인상
425:
쿠웨이트박:
skeil:
 
 
 
 
4. 사이쓰 + 사이쓰: 먼 곳에서 온 침략자들 Scythe + Scythe: Invaders from Afar
 
 
물천사 님이 오시자 제가 사이 시옷이라 부르는 사이쓰를 했습니다.
저는 이해할 수 없지만 현재 긱 랭크에서 8위고요.
테마는 대체역사 세계에서 유럽인 것 같은 어딘가에서 펼쳐지는 여러 국가들의 경쟁이랄까요.
제가 보기엔 그냥 이스탄불/요코하마에 (변형된) 론델 시스템이랑 메카 피규어 조금 넣고 섞은 느낌 정도입니다.
제가 모르는 게이머들을 끌어당기는 매력이 있...겠죠. ㅡㅅ-)a
 
시작 위치는 물천사 님과 쿠웨이트박 님이 유리했습니다.
저와 425 님은 가운데 껴 있어서 섣불리 밖으로 나갈 수 없었는데요.
425 님은 확장 종족이어서 건너갈 강이 없었습니다.
 
물천사 님과 쿠웨이트박 님이 초반에 무섭게 확장을 하고 저도 자원을 쥐어 짜내서 강을 건넜습니다.
그런데 425 님이 전투를 하자고 하셔서 저는
"왜요??"
"제 일꾼이 위험해 보여서..."
저는 전투할 마음이 없었습니다.
다른 두 분이 치고 나가고 있는데 뒤쳐진 사람들끼리 싸우는 건 좀 아니다 싶었어요.
엘 그란데나 티칼 같은 거 해보신 분들은 이 상황을 이해하실 겁니다.
아무튼 설득에 성공해서 싸우지 않고 각자 확장했습니다.
저는 중앙의 팩토리까지 갔으나 쿠웨이트박 님이 저를 밟으셔서 제 지도자는 다시 본거지로...;;;
 
그냥 하던 빨간색을 선택했더니 제 팩션의 능력은 아무 액션이나 쓸 수 있는 것!
사이 시옷 사이쓰가 유사 론델이어서 연속으로 같은 행동을 못하게 막습니다.
제 팩션은 그 규칙을 무시하는 거였고요.
 
물천사 님이 별 6개를 달고 게임을 끝내셨습니다.
점수계산을 해 보니 제가 생각보다 점수가 잘 나오더군요. (이해할 수 없지만...)
 

 
 
게임에 대한 인상
425:
물천사:
쿠웨이트박:
skeil:
 
 
 
 
5. 럼과 해적들 Rum & Pirates
 
 
10월의 알레아 퀘스트를 했습니다.
10번까지 암흑기여서 걱정되었습니다. ㅠ
 
8번처럼 영어판과 독어판 제목이 다릅니다.
영어판으로는 럼과 해적들, 독어판은 럼과 명예입니다. (아무튼 럼.)
해적들이 되어서 해적스럽게 놀면 됩니다.
술집에 가서 거하게 쏜다든지, 해적용품을 얻거나 동료를 찾거나 경비병들과 패싸움을 하거나 등등.
이 게임은 모든 걸 주사위로 해결합니다.
아, 이 게임 디자이너가 슈테판 펠트 씨란 걸 얘기했던가요? ^^;;
아무튼 럼과 해적들은 알레아와 펠트 씨 모두에게 전설이 아닌, 레전설의 시작인 작품입니다.
 
이 게임은 시작부터 425 님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습니다.
425 님이 보물상자 칸에 들어가서 보물상자 토큰을 먹고 속칭 '배스킨라빈스 게임'을 시작하셨는데요.
현재 플레이어부터 주사위를 굴려서 결과를 누적하다가 전갈 토큰에 적힌 숫자 이상을 만든 플레이어가 전갈 토큰을 가져가는 겁니다.
그런데 425 님이 전갈 당첨! 결자해지
 
그리고 물천사 님이 텀블버...ㄱ이 아닌 텀블러로 술을 드시기 위해 술집에서 펀딩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후원자들이 나타났죠.
저와 425 님은 돈을 내고 메탈 토오오오큰을 위한 펀딩에 들어갔습니다.
일단 물천사 님이 주사위 굴림에 성공하셔서 토큰 1개를 먼저 가시고, 그 다음이 저였는데요.
저도 성공해서 남은 토큰을 먹고 펀딩 놀이가 끝났습니다.
425 님은 돈을 냈지만 아무 것도 받지 못했다는 슬픈 이야기...가 아닌 전설.
저는 물천사 님의 시계방향으로 최측근이어서 토큰을 빨리 받을 수 있었네요. 히힛
 
라운드가 끝날 때마다 해적들은 잠자리 (용파리 말고요!)를 놓고 대전투를 벌입니다.
쪽수가 많을수록 더 유리합니다만 그게 좋은 잠자리를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주사위로 승패가 갈리거든요.
이날도 여러 명을 넣은 425 님은 한 명을 넣은 쿠웨이트박 님에게 좋은 잠자리를 빼앗겼습니다. (임창정 씨가 말한 17:1이란 이런 것!)
 
근데 점수는 제가 꼴찌... 응? 왜죠?
 

 
 
게임에 대한 인상
425:
물천사:
쿠웨이트박:
skeil:
 
 
 
 
6. 브래들리 이펙트 Bradley Effect
 
 
그 다음은 물천사 님이 가져오신 브래들리 이펙트를 했습니다.
동물 선거 테마를 가지고 있습니다.
 
규칙은 간단합니다.
턴 시작할 때에 카드를 1장 뽑고 원하는 만큼 내리면 됩니다.
초식 육식 속성이 있어서 후보 지지자들 중 약한 동물을 죽이고요.
일부 카드에는 효과가 있어서 써 있는 대로 하면 됩니다.
그러다가 내 후보자가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지지자를 확보하고 한 라운드 동안 버티면 승리합니다.
 
세 바퀴 정도 도니까 다들 뭔가를 알아챘던 것 같습니다.
서로 얼굴을 쳐다 보며 눈치를 보더라고요.
그러고는 시원스럽게 말을 꺼내셨습니다.
"아니, 이게 게임이야?!"
 
동물의 속성이나 먹이사슬을 사용한다는 아이디어는 있었으나 게임성이 0에 가까웠습니다.
저는 "게임이 아니라 그냥 동물도감이네요."라고 말했죠.
아이들용 책에 부록으로 껴주는 정도라면 마음에 들었을 겁니다.
카드마다 외국 이름이 붙어 있고, 드립이라고 적은 것인지 플레이버 텍스트가 가득한데요.
그거 생각할 시간의 반만이라도 게임 규칙 개발에 투자했어야 하는 거 아닌가 생각했습니다.
뭔가 학생들끼리 팀 프로젝트로 급조해서 만든 수준이었습니다.
이걸 텀블벅에서 후원받아서 만들었다고 하는데요. 텀블벅이 또 해냈습니다!
돈을 주고 이걸 받았단 말이죠?
게임을 개발해서 보내주겠다고 하고선 게임 같이 않은 무언가를 보내줬다면 사기 아닌가요? 오지 않는 메탈 코인보다는...;;;
 
나머지 세 분이 저를 밀어주셔서 서둘러 끝낼 수 있었습니다.
저는 게임에서 승리한 게 아니라 세 분이 저를 승자로 만들어주신 겁니다.
게임이 끝나자마자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모두가 "와~~~~!!!!" 기쁨의 환호성을 질렀습니다.
 
저는 하도 어이가 없어서 룰북 맨 뒷면을 봤습니다.
제작진과 열 명 쯤 되는 플레이테스터들이 있었습니다.
플레이테스트를 정말 한 걸까 의심이 들었습니다.
테스터들이 제작진의 친구여서 면전에 대고 쓴소리를 못 한 게 아닐지.
260여 명의 피해자 후원자들에게 감사하다고 Thanks to...라고 적어두었는데, 이쯤 되면 Sorry to...가 맞는 거 아닙니까?! (SORRY 질러!!)
 
하나 건진 거라곤, 브래들리 이펙트는 전투력 측정기로 쓸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즉, 이것보다 나으면 적어도 '하'라도 주겠단 거죠.
브래들리 이펙트는 저에게 있어서 게임 경계의 바로 밖에 있는 '물체'입니다.
게임으로 볼 수 없는 그냥 물건이요.
 
텀블벅에서 보드게임 프로젝트를 생각 중이신 분들에게 감히 한 말씀 드리겠습니다.
"정제되지 않은 아이디어는 쓰레기를 낳는다"
 

 
 
게임에 대한 인상
425:
물천사:
쿠웨이트박:
skeil: -
 
 
 
 
7. 비티컬처 에센셜 에디션 Viticulture Essential Edition
 
 
깊은 빡침을 진정시키고 이날의 마지막 게임을 했습니다.
2주 전에 했던 비티컬처 에센셜 에디션에서 투스카니 확장을 넣고요.
확장 보드에서 가을 행동 칸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특별 일꾼이 추가되어서 일꾼을 뽑을 때에 1원을 더 내면 특별 일꾼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카드 운 보정은 없었습니다.
 
두 번째 라운드 즈음에 느꼈습니다.
행동 칸이 더 잘게 나뉘니까 일꾼 개수가 훨씬 더 중요해졌다는 걸요.
물천사 님은 일꾼을 계속 늘리셨고, 저는 뭔가 어긋나서 일꾼을 늦게 늘리기 시작했습니다.
아그리콜라나 스톤 에이지에서와 달리, 밥 압박이 없는 비티컬처 일꾼들은 무자비합니다.
일꾼이 적은 플레이어가 많은 플레이어를 견제하려고 특권을 줄이면서 턴 오더를 먼저 잡으면 그래도 손해입니다.
일꾼이 많은 플레이어는 특권이 많은 나중 턴 오더를 선택할 뿐만 아니라 일찍 턴을 마친 플레이어가 비워놓은 행동 칸에 손쉽게 들어갑니다.
밸런스가 똥망이라 느꼈습니다.
 
아그리콜라를 디자인한 우베 아저씨가 이 게임의 개발에 도움을 줬다고 들었는데요.
우베 아저씨가 나쁜 사람인 것 같았습니다.
카드를 추가하는 아이디어를 줘서 아그리콜라 맛이 나게 했으면 끝까지 책임을 져야죠.
일꾼에게 유지비 물리는 걸 안 가르쳐 주면 어떡합니까! 이런 내 맘 모르고 너무해! 너무해!
 
이 게임의 장점은 초보자들에게 친숙하게 직관적이라는 것과 포도농사라는 테마가 잘 묻어난다는 것 정도입니다.
그냥 90분 동안 포도 농사나 지으면서 머리 안 아프게 하고 싶은 즐겜 유저에겐 추천합니다.
저에겐 그다지.
 

 
 
게임에 대한 인상
425:
물천사:
skeil:
 
 
 
 
돌아오는 일요일에 뵙겠습니다.
Posted by Mounted Cloud
정기모임 후기/2017년2018. 3. 12. 07:00
오만과 편식?
 
 
사람마다 자신의 취향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자신의 취향을 모르다가 어느 시점이 되면 알게 됩니다.
'나는 이런 걸 좋아한다, 저런 걸 싫어한다'고요.
취향이 분명해진다는 것은 편견과 편식으로 이어집니다.
먹던 것만 먹 듯이, 게임도 하던 것만 찾게 되죠.
그리고 어느 순간 내 취향 때문인 건지, 아니면 내가 게을러져서인 건지 (또는 새로운 것을 두려워하는 건지) 구분지을 수 없게 됩니다.
'이건 이러이러 해서 안 돼, 저건 저러저러 해서 싫어...'
그러다 보면 선택지가 너무나 좁아집니다.
또 다른 사람과의 공통분모를 찾지 못해서 계속 빙빙 돌다가 포기하기도 하죠. 그냥 ○○(이)나 하죠.
 
모임에서는 주로 입김이 센 사람의 게임들이 주로 플레이됩니다.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떠나서 비슷한 취향을 가진 사람들만 남게 되니까요.
제 스스로도 조심해야지... 하는데도 잘 안 될 때가 종종 있습니다.
좋은 게임, 혹은 적어도 괜찮은 게임을 편견 때문에 지나쳐 버릴 때 말입니다.
 
여러분들은 편견을 뚫고 새로 발견한 게임이 있으셨나요?
 
 

 
 
전날에 모여서 게임을 하고 이틀 연속으로 네로에 갔습니다.
조금 있으니까 425 님이 오셨습니다.
 
 
1. 도미니언 (2판) Dominion (Second Edition)
 
 
425 님이 뒤늦게 빠지신 도미니언...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르실 듯...;;;
기본판 (개정판) 카드를 다 떼셔서 랜더마이저 카드로 무작위로 골라서 했습니다.
총 5게임 했는데, 도중에 셔플이 진짜 말려서 안 되는 판은 5턴만에 패배선언하고 끝냈습니다. 이건 이 게임 디자이너가 와도 안 돼!
425 님이 2원-5원 스플릿으로 시작하고 2원은 예배당, 5원은 실험실...;;;
저는 3원-4원으로 예배당, 은화인데 예배당도 하필 5턴에 나와서... 와, 진짜...
425 님이 발로 셔플해도 이기실 각이었습니다. ㅠ
 
아, 제가 룰북 읽을 시간이 필요해서 쿠웨이트박 님과 425 님 두 분이 한 게임 하셨습니다.
 
 
게임에 대한 인상
425:
쿠웨이트박:
skeil:
 
 
 
 
2. 르 아브르 Le Havre
 
 
쿠웨이트박 님이 오셔서 몇 주 전부터 하자고 하셨던 르 아브르를 했습니다.
저는 옆에서 다른 게임의 룰북을 읽고 있으려고 했는데 두 분이 저만 쳐다 보고 계셔서...;;; 태양이 부릅니다, 나만 바라봐
 
예전에 르 아브르 리뷰를 쓰면서 르 아브르와 프랑스에 대한 역사를 좀 읽어 봤는데요.
그걸 알면 르 아브르 대출의 싼 이자가 비로소 이해됩니다.
제2차세계대전이 끝나고 미국에서 "마셜 플랜"이라는 이름으로 유럽 재건을 위한 원조를 하는데요. (황혼의 투쟁에 카드로도 있죠.)
소련과 대립하는 미국의 입장에서 유럽을 공산주의로부터 지키기 위함이었죠.
돈을 싸게 빌려줄 테니 소련하고 손 잡지 마라.... 그런 거죠.
이 돈으로 완파된, 프랑스의 제2의 항구 도시 르 아브르가 재건됩니다. 한국 버전은 더 인천인가...;;; 리암 니슨?!
 
아무튼 이것도 우베 아저씨 게임입니다.
일꾼 수는 달랑 하나인데, 자원 먹는 행동과 행동 칸을 이용하는 걸 분리해 놨죠.
일꾼한테 밥을 주지 않습니다.
늘어날 일꾼도 없고요.
그냥 라운드마다 내야 할 밥의 수가 늘어날 뿐...
여기서 음식 엔진은 배입니다.
배를 건조하거나 구입하면 앞으로 낼 음식의 수가 줄어듭니다.
이걸 안 하면 계속 발목 잡히는 거죠.
 
두 분은 첫 플레이여서 숏 버전으로 했습니다.
저는 빠르게 나무 배 건조하고 다른 분들이 배를 건조하지 못하도록 막았습니다. 다 같이 죽읍시다!
중반부터 음식 압박 때문에 죽을 맛이죠.
버티다가 결국 대출...
쿠웨이트박 님만 대출 없이 하셨고, 저는 후반에 대출금 다 갚고 편하게 했습니다.
그러나 425 님은... 주륵;;; 몇 번 더 해 봐야겠다고 하셨습니다.
 

 
 
게임에 대한 인상
425:
쿠웨이트박:
skeil:
 
 
 
 
3. 시타델 (2016년 판) Citadels (2016 Edition)
 
 
르 아브르 파이널 스테이지 할 때에 물천사 님이 오셨습니다.
넷이서 뭐 할지 고르다가 425 님이 가져오신 시타델을 하자고 하셨죠.
물천사 님이 한동안 가지고 다니셔서 10번 가까이 했던 것 같네요.
 
초반에 신이 내린 찍기로 두 라운드 동안 여왕님으로 총 6골드를 더 받았습니다.
이 돈으로 치고 나가려고 했는데 여기저기서 공격이 들어와서 힘들었습니다. ㅠ
 
다들 비슷비슷했는데 마지막 직전 라운드에서 제가 도둑으로 공격할 차례였는데,
제가 잠깐 정신을 놔서 두 번째 바퀴 드래프트 기억이 안 나는 겁니다. ㅠ
주교나 상인이나를 놓고 골라야 하는 상황.
물천사 님의 4골드를 빼앗으려면... 역선택을 해서 주교인가?
하지만 땡!
주교는 빠져 있던 카드였고, 나중에 425 님이 두 번째 바퀴 때에 주워가셨습니다만
첫 번째 캐릭터 턴에 돈을 다 쓰셔서... 주륵;;;
 
마지막 라운드에 쿠웨이트박 님의 예상치 못한 한 방을 제가 맞고 물천사 님의 추격에 실패했습니다.
큰 점수차로 물천사 님의 승리.
 

 
 
게임에 대한 인상
425:
물천사:
쿠웨이트박:
skeil:
 
 
 
 
4. 던전 커맨드: 롤스의 독침 + 던전 커맨드: 코르미르의 심장 + 던전 커맨드: 고블린들의 폭압 + 던전 커맨드: 그룸쉬의 피 Dungeon Command: Sting of Lolth + Dungeon Command: Heart of Cormyr + Dungeon Command: Tyranny of Goblins + Dungeon Command: Blood of Gruumsh
 
 
네 번째 게임이 이날의 메인 요리였습니다.
425 님이 몇 달 전부터 던전 커맨드를 하자고 말씀하셨습니다만
한 번도 들은 적 없는 게임이고 큰 박스가 여러 개라 무섭고, D&D 세계관이라 뭔지도 잘 모르겠고
425 님도 해 본 적 없고 룰도 모르신다고 해서 다음에 하자면서 여러 번 미뤘습니다.
이날 저희가 룰을 제대로 했던 건 아니지만 해보고 난 후의 느낌은
'진작에 할 걸...'이었습니다.
 
던전 커맨드는 2012년부터 2013년에 걸쳐 5개의 세트가 나왔습니다.
각 세트는 미리 조합된 팩션이어서, 플레이어마다 한 세트씩 필요합니다.
게임은 D&D 미니어처 게임처럼 맵 타일 위에 미니어처를 놓고 서로 싸우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미니어처를 그냥 막 쓰는 건 아니고요.
명령 덱에서 카드를 뽑고, 크리처 덱에서 카드를 뽑아서 손에 있는 걸로만 소환하거나 명령을 내릴 수 있습니다.
카드 플레이는 매직: 더 개더링과 거의 같았습니다.
궁극의 D&D x 매직: 더 개더링의 크로스오버였죠. (두 게임 모두 해즈브로가 판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맵에 지형에 따라 이동력이 다르게 소비되고 특정 칸은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저는 오크들 무리 같은 팩션이었는데요.
제 커맨더의 능력은 어려운 지형을 무시하게 하는 것!
그리하여 제 크리처들은 물칸에서도 추가 이동력을 소비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도 지형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서 초반부터 물천사 님 팩션에게 뚜까 맞았습니다. ㅠ
제 오크들은 잘 때리는데 허약한 아이들이었거든요.
 
크리처들에게 갈 피해를 커맨더가 대신 맞아줄 수 있는데요.
그럴 때마다 커맨더의 사기가 떨어집니다.
사기는 일종의 커맨더 체력이어서 사기가 다 떨어지면 엘리됩니다.
그런데 한 명만 엘리되어도 게임이 끝!
사기가 가장 많이 남은 커맨더가 승리한다네요. 사기가 사기급...
 
그리고 턴이 끝날 때마다 커맨더의 지도력이 올라가는데요.
지도력은 커맨더가 조종할 수 있는 크리처들의 총 포인트입니다.
그러니까 시간이 지날수록 더 크고 아름다운 더 많은 크리처들을 조종할 수 있는 거죠.
 
물천사 님 팩션에게 계속 맞다가 마침내 제게도 기회가 왔습니다.
D&D 세계관에서 좀 이름있는 크리처, 아울베어가 손에 들어온 겁니다.
뭔가 불꽃 싸다구를 날릴 것처럼 오른쪽 앞다리를 들고 있는 피통 100짜리 아울베어!
 

 

"느그 아부지 뭐 하시노?!"
"즌사인데예."
 
제 아울베어가 나타나자 물천사 님의 팩션은 도망가기 시작했습니다.
기세를 몰아 추적했습니다만 뒤쳐진 거미 한 마리가 마법으로 아울베어에 깊은 흠집을 내서
아울베어가 몇 턴 후에 죽을 위기에 처했습니다. (새차 방금 뽑았는데... ㅠ)
 
물천사 님과 쿠웨이트박 님은 425 님 쪽으로 모였습니다.
425 님이 샌드위치가 되셨는데요.
425 님이 가장 먼저 엘리되시면서 게임이 끝나 버렸습니다.
 
제 손에 힐 마법과 야수 속성의 크리처에게 추가 공격력을 주는 마법이 있었지만
지능 스탯이 붙은 크리처가 안 나와서... ㅠㅠ
 

 
 
게임에 대한 인상
425:
물천사:
쿠웨이트박:
skeil:
 
 
 
 
5. 버건디의 성들: 카드 게임 The Castles of Burgundy: The Card Game
 
 
작년에 알레아 퀘스트를 기획하면서 대략적인 스케줄을 짰습니다.
가장 나중에 나온 베리 스몰 박스는 3번까지만 있으니 10월부터 12월까지 하면 되겠다 싶었죠.
그런데 올해 3분기에 알레아 가문의 버건디 여사께서 늦둥이를 낳으셨습니다;;; 이름하야 다있으? 게임...
갑자기 베리 스몰 박스 4번이 생겨서 버건디의 성: 카드 게임을 한 달 앞당길 수밖에 없었습니다. ㅠ
 
룰북을 전날부터 읽었는데 눈에 잘 안 들어왔습니다.
간단하긴 한데 룰북 면이 작아서 뭔가 불편했습니다.
쪽수가 많아져서 룰북을 앞뒤로 넘겨가면서 읽으니까 집중이 잘 안 됐습니다.
 
카드 게임은 보드 게임을 잘 축약했습니다.
구획을 채우는 것 대신에 트리플을 만드는 것으로 바꿨더군요.
수도원은 원래 4번째 프로모 (보드)였는데, 카드 버전에서는 7번째 색깔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각 단계에서 트리플을 완성할 때마다 보너스를 주는데, 이걸로 콤보 만드는 재미가 쏠쏠 했습니다.
 
처음에는 단계마다 받는 액션 카드 6장에 적응이 안 되서 실수로 보고 있고,
보드 게임 버전과는 조금 다른 행동들이 헷갈렸는데요.
중반 즈음 되니까 익숙해졌습니다.
원래 버건디와 같으면서 또 다른 느낌이 나쁘지 않았습니다.
뭔가 짭 냄새도 나고 억지로 우려낸 듯 해서 별로일 것 같았는데 말이죠. ㅎ
 

 
 
게임에 대한 인상
425:
물천사:
쿠웨이트박:
skeil:
 
 
 
 
6. 도미니언: 인트리그 (2판) Dominion: Intrigue (Second Edition)
 
 
늦은 저녁식사 후에 425 님께 인트리그 (개정판)을 맛만 보여 드렸습니다.
도미니언이 이렇게 무섭습니다...
 
 
게임에 대한 인상
425:
skeil:
 
 
 
 
돌아오는 주말에 뵙겠습니다.
Posted by Mounted Cloud
정기모임 후기/2017년2018. 3. 11. 07:00
쉬엄쉬엄
 
 
9월 되자마자 2주 동안 주말에 무리를 했더니 결국 터졌습니다.
몸에 무리가 왔다는 신호가 오더라고요. ㅠ
일교차가 커지니까 감기 기운도 있고요.
평소에는 괜찮았는데 고양이 알러지가 나서 게임할 때에 괴로웠습니다. ㅠ (카페의 귀여운 고양이들은 죄가 없는데...)
추석도 다가오고 있는데 살살 해야겠습니다. ^^;;
 
 

 
 
요새 (온라인) 도미니언이 참 잘 되어서 새벽까지 그거 하느라 잠을 별로 못 잤습니다. (찾았다, 원인!)
피곤한 몸을 이끌고 네로 카페로 갔습니다.
조금 기다리니까 425 님이 오셨습니다.
전날 제 게임 위주로 게임을 하다 보니, 425 님은 가져오셨던 많은 게임을 놓고 가시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날은 425 님 게임을 주로 하기로 했습니다.
 
 
1. 코드네임즈 듀엣 Codenames Duet
 
 
얼마 전부터 425 님이 코드네임즈: 듀엣을 하고 싶다고 말씀하셔서 내심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425 님이나 쿠웨이트박 님, 저는 일찍 오는 편이어서 둘만 덜렁 남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2인용 게임이 필요했거든요.
 
듀엣은 기본판과 같습니다;;;
핵심적인 차이라면 두 플레이어 사이에 놓는 키 카드죠.
다른 버전과 달리, 듀엣에서는 양면이 합을 이룹니다.
각 면에 9개의 정답이 있지만 양면을 합치면 겹치는 것 3개 때문에 총 15개의 정답 위치가 나옵니다.
그러니 다른 버전으로는 듀엣을 못 합니다.
그렇습니다, 듀엣용 키 카드를 사면 추가 단어 카드를 주는 셈이었습니다. ㅠㅠ
우리는 크바틸 아저씨의 노예였던 것입니다.
 
듀엣에서는 무고한 행인 토큰이 작은 걸로 9개가 들어 있는데요.
이것들이 일종의 모래 시계 역할을 합니다.
다 쓰면 플레이어들이 패배합니다.
각 플레이어는 자신이 스파이마스터 턴일 때에 자신에게 보이는 면을 참조해서 문제를 냅니다.
그러면 반대쪽에 있는 동료가 맞추는 겁니다.
문제를 내는 쪽의 면이 정답이어서, 이때에는 문제를 맞추는 플레이어는 자신이 보고 있는 면을 신경쓸 필요가 없습니다.
만약 행인을 찍으면 행인 토큰이 그 단어 카드 위에 올라가고, 또 다른 행인 카드가 플레이어 앞에 놓입니다.
네, 틀리면 시간이 빨리 가는 거죠. ㅠ
 
아무튼 425 님과 해 봤습니다.
결과는...
 
예전에 에반게리온에서 쌍둥이 사도 "이스라펠"이 왔을 때에 신지와 아스카가 몸동작을 맞추는 훈련을 받았습니다.
서로 계속 안 맞아서 싸우기만 하다가 나중에 겨우 해냈죠.
그냥 그게 생각났습니다...
 

 
4게임 했는데 총 시간이 10분 정도 되었나... 처참했습니다. ㅠㅠ
다행히 이 게임에 지구의 명운이 걸린 것이 아니니 사람은 서로 생각하는 게 다를 수 있다는 걸 새삼 느낀 걸로 만족합니다;;;
저와 싱크를 맞추는 것은 극악의 난이도죠.
 
 
게임에 대한 인상
425:
skeil:
 
 
 
 
2. 도미니언 (2판) Dominion (Second Edition)
 
 
425 님이 뒤늦게 도미니언에 빠지셨습니다.
하필 이 위험한 게임에...
도미니언은 셔플하는 손목과 손가락에 관절염, 망한 셔플로 인한 우울증, 발리고 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무서운 게임인데...;;;
 
네로 카페에 도미니언이 어느 정도 있지만 슬리브 손맛을 중히 여기시는 425 님은 고급 슬리브를 낀 본인의 것을 선호하셔서 개정판을 직접 가져오셨죠.
 
아키타입 중에서, 저는 엔진을 좋아합니다.
도미니언 하면 당연히 액션 카드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첫 번째 게임 세트를 놓고 게임을 하면 크고 아름다운 (?) 엔진을 만듭니다.
빅 머니도 가끔 하는데, 이상하게 1원씩 부족해서 자주 망하더라고요.
425 님은 금화의 중요성을 깨달으셨는지 빅 머니로 하시는 듯 했습니다.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상대가 덱을 빠르게 최적화시키고, 핸드나 덱을 망가뜨릴 카드가 있다면
빅 머니가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첫 번째 게임 세트 같은 경우에, Militia 민병대가 변수죠.
상대가 민병대를 안 가면 빅 머니가 잘 먹히지만 그렇지 않다면 상당히 어렵습니다.
 
이날 첫 번째 게임 세트를 놓고 4번 했는데요.
425 님이 제 엔진을 이길 파훼법을 찾으려 하셨으나 실패하셨던 것 같습니다.
제가 민병대에게 털리더라도 초반에 Remodel 개조로 덱을 최적화하는 데에 시간을 기꺼이 씁니다.
Moat 해자로 인한 내성이 생기기 시작하면 그 다음부터는 역전이거든요.
덱이 최적화되면 시간을 끌수록 유리해집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최적화하지 않은 덱은 셔플이 꼬일 확률이 높아지거든요.
 
예배당을 위한 세팅으로 한 번, 정원을 위한 걸로 두 번.
그리고 랜덤으로 돌려서 5번을 했던 것 같습니다.
이날 한 것만 총 12번;;;
 
이날 인상적이었던 건, 정원을 놓고 할 때였습니다.
제가 개정판으로 다른 분에게 가르쳐 드린 적이 없어서 저도 잘 못했던 것 같습니다.
제가 봤을 때에는 '이거 안 돌아가는 덱인데...'라고 생각했던 425 님의 덱이 꾸역꾸역 돌아가더라고요;;;
개정판은 좀 다르구나 싶었습니다.
 
슬리브가 부족해서 슬리브를 바꿔끼면서 플레이했는데요.
다음 번엔 좀 더 편하게 할 수 있겠죠;;;
 
 
게임에 대한 인상
425:
skeil:
 
 
 
 
3. 생 말로 Saint Malo
 
 
알레아에 있어, 잔인한 9번...
빅 박스인 5번가에 이어, 미디언 박스인 생 말로를 했습니다.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 거에요. 그냥 이런 애가 있습니다;;;
 
알레아 게임 중 최초로 펜으로 그리는 게임입니다.
박스를 열면 휑~ 합니다. 찬바람이 불어오죠.
들어 있는 건 판때기 6개와 "독일제" 건식 마커펜, 주사위 5개. 이게 답니다.
친구들에게 자랑할 건, 이 독일제 펜밖에 없어요! 메이드 인 젊은이! (펜을 사면 게임을 준다. 뭐, 그런;;;)
 
게임은 "야찌"입니다.
주사위 5개를 굴리는데요.
자신의 턴 동안에 다시 굴림 2번을 포함해서, 총 3번 굴립니다.
그런데 6면 중 하나인 해적 결과는 다시 굴릴 수 없습니다.
자신의 턴에 굴린 결과가 됐다 싶으면 멈추고 한 가지 아이콘을 골라서 행동을 하면 됩니다.
면에는 통나무, 상자, 십자가, 사람, 성벽, 해적 아이콘이 있습니다.
통나무를 선택하면 창고에 천하장사 소시지처럼 생긴 통나무를 그리면 됩니다.
그런데, 나무를 옮기려면 무거워서 무조건 2원을 내야 합니다.
돈을 낼 때에는 창고 위에 있는 빵 모양 돈에 'X'표를 하면 됩니다;;;
 
상자가 나오면 도시 안에 컨테이너 같은 상자를 그리고요.
십자가가 나오면 교회 1개, 사람이 나오면 두문자 1개, 그리고 성벽이 나오면 도시 둘레에 성벽을 예쁘게 그리면 되죠.
 
플레이어가 턴을 끝낼 때에 굴린 결과 중 해적이 있으면 해적 칸에 그만큼 'X'표를 칩니다.
그게 인원수에 맞게 미리 지정된 개수에 도달할 때마다 해적이 쳐들어옵니다.
해적은 자비가 없어서 모든 플레이어를 공격합니다.
그래서 미리 방비가 되어 있지 않은 플레이어는 대포 1개를 잃습니다.
방어는 쉽습니다.
성벽으로 한 면을 둘러막을 때마다 전투력 2를 올려주고, 군인 1명당 전투력 1을 얻습니다.
그 전투력이 해적 전투력 이상이면 그 플레이어는 막아냅니다. 해적들이 세고 자주 온다는 게 문제지만;;;
 
이 게임은 사람을 시험하려 드는 요소가 많습니다.
일단 주사위빨 게임이니 되지도 않을 결과를 기다리며 다시 굴림하게 만드는 게 있습니다.
'내가 굴리면 될 거야!' 같은 이상한 믿음 말이죠.
하지만 이 게임은 돈으로 뭐든지 된다는 걸 보여줍니다.
2원만 내면 주사위 면을 내 마음대로 돌릴 수 있다고!! (해적 면을 돌리거나, 해적 면으로 돌리는 건 안 되요.)
그러니 일단 굴려본 후에 적당히 타협해서 돈을 쓰는 게 나을 때가 많습니다.
 
이 게임은 점수계산이 있습니다.
'그런 걸 할 필요가 있나...' 싶을 정도로 점수가 잘 안 날 것 같은데, 점수를 내는 플레이어가 있기 마련이죠.
게임의 종료 시에 잃은 대포마다 -5점이나 되요!
그래서 대포를 살리는 게임인 줄 알고 도시 방어만 하다 보면 점수 나올 구멍이 다 막히는 경우가 생깁니다.
해적들은 딱 6번만 쳐들어오고, 그 다음부터 오지도 않습니다.
그런데 이 게임은 누군가가 칸을 다 채워야 끝나서 생각보다 깁니다. 빨리 안 끝나요!
 
425 님과 저는 대포를 2개나 살렸지만 결국 대포를 다 잃은 물천사 님이 이기셨다능...;;;
 

 
 
게임에 대한 인상
425:
물천사:
skeil:
 
 
 
 
4. 쿼드로폴리스 + 쿼드로폴리스: 최첨단 공장 Quadropolis + Quadropolis: High-Tech Factory
 
 
이 게임을 이제서야 해봤습니다.
작년에 이거 나올 때에 시끌벅적했던 것 같은데, 요샌 조용하네요. 아무도 안 하나;;;
 
예술적인 데이즈 오브 원더답게 아트워크는 좋았습니다.
좁은 땅에 여러 건물을 잘 가져와서 지으면서 점수 올리는 게임이었는데요.
뭔가 두 도시 사이에를 했을 때에 받은 인상과 비슷했습니다.
드래프트를 동시에 하느냐 순서대로 하냐 차이가 있긴 한데요.
어쨌거나 결과적으로 각 건물 종류마다 득점 방법이 다르니까 알아서 촘촘하게 계산하라는 거잖아요.
 
1부터 4까지의 마커로 다른 플레이어들의 선택지를 좁히는 건 재미있었습니다.
울름을 했을 때에 비슷했던 것 같고요.
 
아무튼 잔잔하게 할 만 한 게임이었습니다.
제가 데이즈 오브 원더가 노리는 고객층이 아니어서 그런가 모임에서 자주 할 게임은 아닌 것 같았습니다. 좀 밍숭밍숭하고 약한 느낌?
아이들하고 할 게임 같은...
저는 그냥 7 원더스 할래요.
 

 
 
게임에 대한 인상
425:
물천사:
skeil:
 
 
 
 
5. 비티컬처 에센셜 에디션 Viticulture Essential Edition
 
 
이름만 들어온 이 게임을 드디어 해봤습니다.
제목 때문에 어려운 게임 아닌가 싶었는데 쉬운 게임이더군요. 스톤 에이지급으로요;;;
초보자들을 데리고 일꾼 놓기 게임 알려줄 때에 선택하기 좋아 보였습니다.
 
포도 품종 가져다가 밭에 심고 수확하고 가공해서 병에 담고 팔고...
이 일련의 순서를 일꾼 놓기로 어느 것을 선점해서 더 좋은 행동으로 할지 고민하는 게임이었습니다.
일꾼 놓기 단계를 여름과 겨울로 나눈 게 재미있었습니다.
여름에 안 쓴 일꾼을 겨울에 쓰는 식으로요.
 
근데 문제는 카드빨...
2015년에 나온 게임 치곤, 너무 올드합니다.
아니, 덱에서 맨 위 한 장을 가져오라고요?! 그것도 뒤집어져 있는 카드를?
제가 1990년대에 나온 게임을 한 건 아니겠죠?
비티컬처 디자이너가 제 손에 돌도끼를 쥐어주면서 숲에 가서 곰 잡아오라고 하는 것 같았습니다. 지금은 철기시대라고!! 그리고 곰을 잡는 건 불법이야!!
 
게임도 초보자를 아는지, 카드빨이 얼마나 안 좋을 수 있는지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제 주종은 백포도였는데, 납품해야 하는 건 적포도더라고요. 허허.
다른 분들은 라운드 마칠 때 2원 이상 받을 때에 저만 1원 받고 살았답니다. 이 놈의 포도, 난 안 키울란다!
 
점수차는 생각보다 크지 않았습니다.
두 분은 납품 하나 차이라고 위로를 해 주셨지만 제 손에 남은 건 할 수 없는 주문서뿐...
 
"저한테 왜 그랬어요! 말해봐요! 저한테 왜 그랬어요!"
"넌 나한테 적포도를 줬어~"
 

"그런데 왜 그리 슬피우느냐?"
"그 주문은 납품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ㅠㅠ"
 

 
 
게임에 대한 인상
425:
물천사:
skeil:
 
 
 
 
6. 언페어 Unfair
 
 
그리고 마지막 게임으로 425 님이 가져오신 언페어를 했습니다.
약 3개월 전에 안 좋은 추억을 남겼던 그...
 
이번에도 해적 관련 어트랙션을 선택했습니다.
초반에 돈이 부족해서 대출로 좀 당겨 쓰고 해적 수퍼 어트랙션을 깔았는데 이상하게 돈이 안 모이는 겁니다.
같은 비용의 물천사 님의 우주 배경 수퍼 어트랙션은 능력이 사기급으로 좋았는데 말이죠.
거의 끝날 때 알게 되었는데 제가 능력 텍스트를 빠뜨리고 읽었습니다.
이벤트 단계에서 열려 있는 해적 테마 어트랙션마다 돈을 받는 건데, 그걸 제 것만 참조하는 줄 알았던 거죠.
중반부터 수입이 빵빵 터졌어야 했지만 제가 계속 빠뜨려서 가난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게임 할 맛이 안 날 정도로 힘이 쭉 빠졌습니다만 다행이었습니다.
거의 끝날 때 알아서요.
고통의 시간이 짧았네요.
몸이 안 좋으니 텍스트도 제대로 못 읽나 봅니다. 주륵 ;o;
 
 
게임에 대한 인상
425:
물천사:
skeil:
 
 
 
 
돌아오는 일요일에 뵙겠습니다.
Posted by Mounted Cloud